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5·24 조치·판문점선언 비준 놓고 여야 격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통일부 국정감사에서는 어제에 이어 5.24 조치를 비롯한 대북 제재를 놓고 여진이 계속됐습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를 비롯해 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 동의 문제를 놓고 여야 간 의견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지선 기자!

대북 제재에 대한 의견이 엇갈렸다고요?

[기자]

어제에 이어 오늘도 5.24 조치 해제와 관련한 여야 의원들의 질의가 있었는데요,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본격적으로 검토한 적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 논란은 일단락됐습니다.

조 장관은 또, 5·24조치 해제를 위해선 원인이 된 천안함 관련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먼저 조 장관의 발언부터 들어보시겠습니다.

[박병석 / 더불어민주당 의원 : 한국 정부가 5.24의 조치 해제 문제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사실이 있습니까?]

[조명균 / 통일부 장관 : 구체적으로 검토한 사실은 없습니다. 지금 남북관계를 다시 개선하고 발전시켜나가는 상황에서 그때그때 유연한 측면에서 저희가 조치를 취하고 있고….]

여야는 또, 대북제재에 대해 우리 정부가 취할 입장에 대해 확연한 의견 차이를 보이며 맞섰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정부가 개성공단의 특수성에 따라 대북제재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내세워 재개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를 설득하라고 주문했고, 이해찬 당 대표도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엔 정부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완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이해찬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정부가) 유엔 안보리를 잘 설득할 수 있는 논리와 근거를 잘 준비할 필요가 있어요. 그래서 (북미) 정상회담 결과들이 좋을 경우, 바로 안보리 제재를 완화 내지는 면제할 수 있는 준비 작업을 철저히 해주시고요.]

반면 자유한국당은 완전한 비핵화 이전에 대북제재 해제는 어불성설이라며 맞섰습니다.

특히 미국의 승인 없이 한국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으로 한미 간 균열 우려가 현실로 드러났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김무성 / 자유한국당 의원 : 비핵화의 진행이 있어야만 제재가 풀리는 것 아닙니까?]

[조명균 / 통일부 장관 : 일정 단계, 일정 수준 이상의 교류 협력의 경우, 미국과 더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만, 또, 어느 부분은 우리가 독자적으로 해 나갈 수 있고….]

[김무성 / 자유한국당 의원 : (트럼프 대통령 발언은) 미국에 등을 지고 북한의 입장을 너무 많이 대변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경고성 발언으로….]

판문점 비준 동의안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비준 동의가 꼭 필요하다며 정부가 국회 설득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주문한 반면,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재정이 얼마가 들어갈지 모르는 상황에서 비준에 동의할 수 없다며 남북 철도와 도로 협력 비용을 상세히 공개하라고 맞섰습니다.

지금까지 통일부에서 YTN 김지선[sunkim@ytn.co.kr]입니다.

▶ 24시간 실시간 뉴스 생방송 보기

▶ 네이버 메인에서 YTN을 구독해주세요!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