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국감브리핑]동해·독도 해외표기 오류 3만건 육박…시정은 3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만8634건 표기오류 신고에 실제 수정은 9051건

김수민 "잘못된 조직문화·예산 부족…문체부, 대책마련해야"

뉴스1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 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지난 3년간 해외에서 동해, 독도 등 대한민국에 대해 엉터리로 표기한 오류가 2만8634건이 신고 접수됐지만 시정은 3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11일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김수민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으로부터 제출받아 이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해외문화홍보원이 운영하는 '한국바로알림서비스'를 통해 국가정보와 역사·도시·지리·문화 등에 대한 표기오류 등 신고를 접수받고 있다.

2016년 9월부터 올해 10월1일까지 3년간 2만8634건에 달하는 표기오류 신고를 받았지만, 실제 수정된 건 9051건(31.6%)에 불과했다.

특히 독도 표기 오류는 637건이나 됐으나 221건(34.7%)만 고쳐졌고, 동해 표기 오류는 1만7400건 중 4571건(26.3%)만 수정됐다.

김 의원은 이같은 문제의 원인으로 정부의 무관심을 꼽았다. 해외문화홍보원이 김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3만건에 육박하는 오류를 전담요원 5명(기간제 1명, 무기계약직 4명)이 나눠서 시정업무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바로알림서비스' 홍보예산도 작년에 1억2000만원에서 올 해 3000만원으로 4분의 1토막으로 줄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외문화홍보원 측은 "재외동포 커뮤니티와 해외 한류 팬사이트 대상 광고·온라인이벤트 등 홍보에 노력하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다만 민원법상(14일 이내에 조치) 신고내용 번역과 오류여부 검토, 자료조사, 서신작성, 사후모니터링 등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라 전담인력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김 의원은 "해외문화홍보원은 각종 갑질과 성희롱 등 잘못된 조직문화와 고질적인 예산 부족 등으로 총체적 난국인 상황"이라며 "컨트롤타워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hj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