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5 (금)

해양쓰레기 지자체가 치워라?…해수부 '수수방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완주의원,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계획 연구용역' 분석

해수부 해양쓰레기 수거 비중 급감…공백은 지자체 몫

뉴시스

뉴시스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박성환 기자 = 해양쓰레기 발생 추정량이 매년 9만 톤을 넘는 가운데 해양수산부의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매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따르면 매년 초목류를 제외한 해양쓰레기 발생 추정량은 9만1195톤에 달했다.

종류별로 해상에서의 폐어구 유실이 4만4081톤(48.3%)으로 가장 많았고, 서해에만 4만9227톤(42.6%)의 침적쓰레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양 쓰레기 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없다. 유입원이 다양하고 발생 구역이 광범위해 전수조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해수부가 의존하는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2013년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 수립 시 추정된 발생량이 유일하다.

2015년부터는 전국 해안 40개 정점의 모니터링 결과를 가지고 해당 해안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종류와 발생량을 파악하고 있다. 최근 5년간 모니터링 된 해안쓰레기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재질은 역시 플라스틱류였다. 2013년 47%에서 2017년 58.1%로 비중이 11.1%나 증가했다.

이처럼 플라스틱 쓰레기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최근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양쓰레기 수거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3년 4만9080톤에서 2017년 8만2175톤으로 67%나 증가했다.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 연구용역에서 추정한 해양쓰레기 발생량 9만1195톤에 가까워지는 추세다.

하지만 같은 기간 동안 해수부의 연도별 쓰레기 수거 비중은 절반이하로 떨어지고 있다.

2013년에 수거한 4만9080톤 중 해수부가 수거한 양은 1만2065톤으로 24.6%였다. 그러나 2017년에 수거한 8만2175톤 중 해수부가 수거한 양은 9664톤으로 11.8%로 떨어졌다. 5년 동안 해수부의 비중이 12.8% 가량 급감한 것이다.

해수부의 공백은 지자체가 대신 메우고 있다. 같은 기간 수거된 쓰레기 총 34만8155톤 중 해수부가 수거한 쓰레기는 5만4328톤으로 15.6%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전남 23.6%, 경남 16.7% 등 광역지자체 보다 더 적은 비중이다.

더 큰 문제는 해수부가 정부 대신 해양쓰레기 수거를 담당하고 있는 지자체에 대한 지원에 인색하다는 점이다. 지자체에 대한 지원 사업은 대표적으로 해양쓰레기 정화사업과 내년도 신규로 추진되는 바다환경지킴이사업이 있다.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의 경우 50% 국고보조가 이뤄지지만, 균형발전특별회계여서 지자체 재정 여건 상 현재보다 증액편성이 어려운 실정이다. 해수부는 내년부터 신규 사업으로 바다환경지킴이사업을 시작하는데, 국비보조율이 30%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지자체에 재정 부담을 떠넘기는 꼴이다. 해수부의 미온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박완주 의원은 "해수부가 전 세계적인 환경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해양쓰레기 문제를 지자체에 떠넘기는 것도 모자라, 지원에 인색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며 "국가 지원을 늘려 지자체가 재원 걱정 없이 해양환경 보전에 앞장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ky0322@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