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위안부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어려워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네스코, 내년 10월 기록유산 개편 결정

아시아경제

14일 서울 종로구 평화의 소녀의상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촛불문화제에 참석한 참가자들이 촛불을 들고 있다. 8월 14일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1991년 자신의 피해 사실을 처음 공개 증언한 날로, 2013년부터 민간 단체를 중심으로 이날을 '위안부의 날'로 기념해 왔고, 지난해 '위안부피해자법' 개정에 따라, 올해부터는 8월 14일이 국가기념일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되었다./윤동주 기자 doso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백종민 외교안보담당 선임기자] 유네스코(UNESCO) 집행이사회가 내년 10월 세계기록유산 심사 제도를 개편하겠다는 일정을 마련했다. 일본의 방해로 불발된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또다시 빨간불이 켜졌다.

일본 산케이 신문은 58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유네스코 집행이사회가 세계기록유산 제도 개편을 위한 행동계획안 초안을 10일(현지시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고 11일 보도했다. 이 초안은 오는 17일 전체 회의를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초안이 확정되면 연내 세계기록 유산 개편을 위한 회원국 실무그룹이 구성돼 개편안을 마련할 전망이다.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지난 4월, 10월에 열리는 집행이사회와 전체회의에서 기록유산 심사 개편안에 합의한다는 내용의 행동계획안을 보고했지만 성사되지 못했다. 아프리카와 중남미 회원국이 반발하자 아줄레 총장은 새로운 행동계획안을 내놓기로 했고 이번 집행이사회를 통해 내년까지 기록유산 심사를 개편한다는 일정을 포함한 안이 확정됐다.

현재 세계기록유산은 국제자문위원회(IAC)가 심사한다. 일본은 IAC를 '밀실심사'라고 규정하고 회원국이 심사를 주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회원국이 심사에 관여하게 되면 일본은 자신들에게 부정적인 위안부 기록유산 등재를 방해하는 길을 확보할 수 있다. 그만큼 위안부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도 어려워질 수 있다.

세계기록유산 심사 개편 주장은 지난해 10월 한국과 중국이 주도한 위안부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유보된 후 본격적으로 불거지기 시작했다. 일본은 지난해 위안부 기록물 등재 심사를 노골적으로 방해했다. 자신들에게 불리한 자료가 연이어 등재될 상황이 되자 심사가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주장을 폈다. 일본은 2015년 10월 중국 난진대학살 자료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을 때도 완강히 반발했고 위안부 기록물 등재를 앞두고는 본격적인 방해 전략을 폈다.

일본의 전략은 돈줄이다. 일본은 유네스코 분담금을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이 내는 국가다. 미국이 유네스코 탈퇴를 선언한 상황에서 일본의 입김이 커진 이유다. 일본의 압박에 유네스코는 등재 심사를 보류하고 심사 제도 개편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백종민 외교안보담당 선임기자 cinqang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