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0 (목)

유사 단백질 선별하는 신소재 분리막 개발…숙명여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금속-유기 구조체(입자, 패턴, 분리막)에서의 거대기공 형성 및 유사 단백질 분리(한국연구재단 제공)©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유사한 크기의 단백질을 분리하는 새로운 분리막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포항공대 김동표 교수·숙명여대 최경민 교수 연구팀이 금속과 유기물질 복합체로 제조한 막에 거대 기공을 뚫어 단백질을 포함한 거대 복합 분자를 선택적‧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포항공대 정관영 박사는 제1저자로 연구를 수행했다.

금속-유기 구조체 기반의 기존 분리막은 미세 기공만 가지고 있어서 아주 작은 분자 물질과 기체만 분리할 수 있다.

구조가 크고 복잡한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통과할 수 있는 거대 기공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의 표면 전기를 조절해야 하지만 쉽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미세 기공만으로 구성된 금속-유기 구조체 내에 단백질도 통과할 수 있는 거대 기공을 제조해냈다.

마치 골목길만 있는 지역에 고속도로를 굴착한 것과 유사하다.

이는 유기물의 특정 부분과 금속 이온의 결합을 절단하는 촉매화학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했다.

연구진이 만든 거대 기공과 미세 기공 표면에 양전기 또는 음전기를 가지도록 유도하면 전기적인 이끌림과 반발력에 의해 단백질마다 이동속도에 차이가 생긴다. 이러한 원리로 유사 크기의 단백질도 분리할 수 있다.

특히 기공의 표면전기 특성을 전환할 수 있는 유동성 액체를 흘려주면 특정 단백질만 분리할 수 있는 공정으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다.

최경민 교수는 “기존에 거대‧복합 물질을 적용하지 못했던 금속-유기 구조체에 거대 기공을 도입해 성공적으로 유사 단백질을 선별한 사례”라며 “의약품, 천연 원료, 박테리아 등 각종 단백질의 맞춤형 정밀 분리 장치로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리더연구, 신진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최상위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달 27일 실렸다.

뉴스1

포항공대 김동표 교수(왼쪽), 숙명여대 최경민 교수(가운데). 포항공대 정관영 박사©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memory444444@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