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1 (금)

[테크M]부패한 정치 ICT로 혁신하려던 케냐…'결국 실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10일(현지시간) 케냐 수도 나이로비의 마싸레 슬럼가에서 야당연합 후보인 라일라 오딩가 지지자들이 대선 결과에 불복하는 반대시위를 벌이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지난 2007년 아프리카 케냐에서 음와이 키바키 대통령이 당선된 후 이 나라에서는 부정선거 의혹을 둘러싸고 과격 시위가 벌어졌다. 이는 곧 폭력진압으로 이어졌고 약 1500명의 시민이 목숨을 잃는 최악의 상황까지 연출됐다.

부패한 집권세력과 공신력을 잃은 국민투표, 통제된 언론 등으로 사회의 불신과 혼란은 깊어만 갔다.

정치적 혼란이 국가 경쟁력을 좀먹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케냐가 선택한 것은 다름아닌 정보통신기술(ICT)이었다. 약 11년이 지난 현재, 케냐의 ICT 발전은 정치 발전까지 이끌었을까.

<테크M> 10월호에서는 미국 MIT 대학이 발행하는 기술전문지 MIT테크놀러지리뷰가 보도한 'ICT 수준 높아진 케냐, 정치는 발전 없어'라는 제목의 기사를 다뤘다. 이 기사는 2007년 케냐 대통령 선거 이후 정치와 ICT 발전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케냐는 1500여명의 국민이 시위로 목숨을 잃는 정치적 아픔을 겪은 후 '독립검토위원회'를 구성해 ICT기술로 정치세력 간 갈등을 해결하고 투명한 행정을 하고자 했다.

우선 전자선거관리시스템을 도입해 투표자 등록, 투표자 신원 확인, 집계과정을 모두 전산화했다. 부정선거 의혹을 투명한 전산시스템으로 해소하고 신뢰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또 독재정권에 통제되는 언론 대신 지역 라디오 방송국 확대와 소셜미디어 확산으로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각 지역의 언어를 사용하는 라디오 방송국 설립을 장려했다. 지난 1990년에는 국가 라디오방송국과 TV방송국만이 존재했지만 2017년 케냐에는 라디오방송국이 총 178개 운영되고 있으며 TV방송국도 60개가 설립, 운영되고 있다.

4800만명에 달하는 케냐 인구 중 적어도 700만명 정도가 페이스북 계정을 갖고 있으며 1000만명이 왓츠앱을 사용한다.

아울러 현재 케냐 국민 10명 중 9명은 휴대폰을 사용하며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초고속인터넷을 사용한다. 개발도상국 중 높은 기술 수준이다.

하지만 선거관리시스템의 전산화와 소셜미디어 확산, 언론의 다양화 등 ICT 기술의 진보가 케냐의 정치 선진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는 것이 MIT테크놀러지리뷰의 평가다.

실제 케냐는 전자선거관리시스템을 구축한 이듬해인 2008년 실시한 선거에서 또 다시 부정선거가 발생해 시민 100여명이 야당측 경찰에 의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

언론의 다양화를 통해 독재 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탈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던 지역 라디오방송국은 각 부족별 언어로 특정계층과 특정인의 혐오를 부추기는 '가짜뉴스' 수단이 됐다.

권력자들은 SNS를 악용해 특정 후보가 당선되면 케냐에서 집단 학살이 일어날 것이라는 경고가 담긴 가짜뉴스 영상을 퍼트리기도 했다.

케냐 사례는 모든 기술 혁명에는 이것이 정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새로운 고민이 뒤따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기술에는 사회 가치가 반영되며, 사회가 스스로 해결할 의지가 없는 문제를 기술이 대신 해결해 줄 수는 없다는 게 MIT테크놀로지리뷰의 결론이다.

◇테크M(www.techm.kr)은 미국 MIT 대학이 발행하는 기술전문지 MIT테크놀로지리뷰와 독점제휴한 신기술 전문 월간지다.

뉴스1

대선 패배 불복을 선언한 케냐의 야당 지도자인 라일라 오딩가가 13일(현지시간) 나이로비 마싸레에서 선거폭력에 항의하는 연설을 한 뒤 떠나고 있다. 라일라 오딩가는 이날 집회에서 이번 대선 결과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14일 파업을 촉구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omangchoi@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