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강남 살 이유 없다던 장하성, 1년 집값 4억5000만원 뛰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이 12일 국회에서 국토교통부 부동산 관련 발표에 앞서 긴급기자회견을 열었다. 오종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은 12일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이후 문재인 정부 고위공직자 중 1년간 5억원 이상의 시세 차익을 올린 이는 상당수"라고 밝혔다.

김병준 비대위원장 등 한국당 지도부는 이날 오후 부동산 대책 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자료를 냈다. 이에 따르면 현 정부 인사 중 지난 1년간 가장 큰 시세 차익을 올린 이는 오동호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장이었다. 오 원장이 소유한 대치동 선경아파트 전용면적 127.75㎡(38평)의 시세는 지난해 7월 21억5000만원에서 올 8월 29억원으로 7억5000만원 올랐다.

두 번째는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 그가 소유한 서울 강남구 대치동 개포우성2차 169.18㎡(51평)의 시세는 24억5000만원에서 31억5000만원으로 7억원이 상승했다.

3위는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었다. 홍 장관이 보유 중인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아파트 116.94㎡(35평) 가격은 18억3500만원에서 25억원으로 약 6억6500만원이 상승했다.

또한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의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청화아파트 160.55㎡(48평)는 13억5000만원에서 20억원으로 6억5000만원이 뛴 것으로 조사됐다.

언론 인터뷰에서 "집값으로 장난치지 말라"고 했던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의 대치동 대치삼성아파트 109㎡(32평)는 5억8000만원(13억7000만원→19억5000만원) 올랐다. 이밖에 손병석 국토교통부 제1차관의 대치동 쌍용아파트 120.76㎡(36평)는 5억7000만원(16억3000만원→22억원) 올랐으며, 주영훈 청와대 경호처장의 반포동 반포자이아파트 84.94㎡(25평)도 5억원(18억원→23억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사람이 강남에 살 이유는 없다“고 했던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의 잠실동 아시아선수촌 134.48㎡(40평)는 상승 폭이 5억원에 미치지는 못했다. 20억원에서 24억5000만원으로 4억5000만원 상승했다. 또한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의 개포동 아파트는 4억9000만원,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대치동 아파트는 4억7000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당 함진규 정책위의장은 ”정부 고위공직자 윤리위 공고와 한국감정원 시세 기준에 따라 분석했는데, 실거래가는 오히려 더 높을 수 있다"고 전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말로는 집값 잡겠다면서 (현 정부 고위층이) 강남서 버티고 있는 이유를 조금 알 것 같다. 부동산 재테크의 달인들"이라고 꼬집었다.

8.2 대책 이후, 문재인 정부 고위직 집값 변화
▶오동호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

강남구 대치동 선경아파트 127.75㎡(38평)

21억5000만원 → 29억원(7억5000만원 상승)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강남구 대치동 개포우성2차 169.18㎡(51평)

24억5000만원 → 31억5000만원(7억원 상승)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아파트 116.94㎡(35평)

18억3500만원 → 25억원(6억6500만원 상승)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용산구 이태원동 청화아파트 160.55㎡(48평)

13억5000만원 → 20억원(6억5000만원)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

강남구 대치동 대치삼성아파트 109㎡(32평)

13억7000만원 → 19억5000만원(5억8000만원 상승)

▶손병석 국토교통부 제1차관

강남구 대치동 쌍용아파트 120.76㎡(36평)

16억3000만원 → 22억원(5억7000만원 상승)

▶주영훈 청와대 경호처장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아파트 84.94㎡(25평)

18억원 → 23억원(5억원 상승)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송파구 잠실동 아시아선수촌 134.48㎡(40평)

20억원 → 24억5000만원(4억5000만원 상승)



한영익 기자 hanyi@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