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靑 "소득주도성장 말에 매이지 않아…文대통령, 장-김 신뢰준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양극화·지속가능한 성장 목표 향해 열려있어"

"장-김 생각의 차이 수용가능 판단, 맡기는 것"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청와대는 21일 “소득주도성장이라는 말 자체에 매일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소득주도성장이 결국은 양극화,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큰 목표가 있는 것이고, 그 목표를 향해가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 고용 부진 상황 등과 관련해 소득주도성장의 근본적인 방향성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수정 가능성에 대해서도 “열려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다만 “소득주도성장이 여러가지 측면이 있는데, 모든 만악의 근원은 최저임금이라고 얘기하는 부분은 선뜻 동의할 수 없다”며 “정책적 효과에 대해서 열린 마음으로 보고있는데 과학적으로 어떤 징후들이 나오는지 조금 더 봐야한다”고 말했다. 아직까지는 소득주도성장이 경제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부정 지표가 섞여있어 판단을 내리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그는 상용근로자와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증가한 것 등을 긍정적인 지표로 꼽았다.

이 관계자는 “과학적 데이터 지표들이 명확히 한 지점을 향해 가 있는건 아니다”며 “소득주도성장 큰틀 변화는 아니겠지만 정책적 수단들이 유효한지는 계속해서 보고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동연 경제부총리간 정책 ‘엇박자’ 논란과 관련해 “대통령과 김동연 부총리, 장하성 정책실장 등이 다 같이 토론을 한다”며 “포용적 성장 3축이라고 하는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 이런 부분에서 서로의 관점을 얘기하다 보면 새로운 어떤 지점들이 있다는걸 인식할 수 있다. 너무나 건강한 토론”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0일 수석보좌관회의를 통해 이같은 논란을 인식해 ‘경제팀간 완벽한 팀워크’를 주문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생각의 차이가 없다고 하는 게 아니고 그런 부분까지 충분히 정부 내에서 수용 가능하다고 보고 맡기는 것”이라며 “대통령이 강력히 이야기하는 건 두 분 생각이 같다고 해서 신뢰를 주고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