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30 (월)

"트럼프·시진핑, 11월까지 무역전쟁 담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월에 만나 무역전쟁 종식을 위한 담판을 시도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양국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시진핑 담판'을 위해 현재 양국이 로드맵을 짜고 있으며, 22~23일 워싱턴DC에서 예정된 미국·중국 간 차관급 회동이 로드맵을 위한 과정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미국과 중국이 서로에게 피해가 되는 무역전쟁을 끝내기 위한 작업에 착수해 11월에 최종 타결을 시도하겠다는 구상으로 분석된다.

담판 장소는 11월 중순 파푸아뉴기니 포트모르즈비에서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또는 11월 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WSJ는 "양국 관리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APEC 정상회의에서 만날 예정"이라며 "통상적으로 볼 때 예정돼 있는 양국 간 정상회의에서는 상황을 악화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압박이 있기 마련"이라고 분석했다.

WSJ 보도에 나온 '트럼프-시진핑 담판' 시도 시기인 11월 중순 또는 11월 말은 미국 중간선거일인 11월 6일 이후의 일이다. 여기에는 '정치적 의도'가 내포돼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중간선거를 앞두고 올해 2분기 성장률이 연 4.1%로 약 4년 만에 최고 수준이라고 부각시키는 등 '경제 성과' 띄우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도입한 정책 덕분에 경제성적표가 좋다는 논리로 승기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문제는 현재 미국 경제는 좋지만 중국과의 무역전쟁이 장기화한다면 미국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무역전쟁은 복잡하게 얽혀 있는 글로벌 공급·가치 사슬에 큰 위협을 가해 '미국 내 수입품 가격 상승→경제활동 위축→일자리 감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 세계 석학들은 경고해왔다.

결국 선거 이전에는 미국 경제를 위협하는 중국에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트럼프노믹스'(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로 유권자 표심을 사로잡고, 선거 이후에는 중국과 담판을 짓고 미국 경제에 해가 될 수 있는 '불씨'를 잠재우겠다는 의도가 깔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WSJ는 "중국 왕서우원 상무무 부부장(차관) 겸 국제무역협상 부대표는 22~23일 워싱턴DC를 방문해 데이비드 멀패스 미국 재무부 차관과 협상을 벌일 예정"이라며 "미·중 협상은 11월로 가기 위한 길을 닦을 것"이라고 전했다.

왕 부부장이 이끄는 중국 협상 대표단은 총 9명 규모이며, 미·중 간 추가 회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WSJ는 전망했다.

다만 로드맵을 짜는 과정은 매우 험난한 것으로 예상됐다. 약 2개월 만에 재개되는 이번 회동은 양국 간 4차 무역협상이지만 이견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미국이 5월 협상에서 중국에 대미 무역흑자를 2000억달러 축소하는 것을 포함해 8개항의 요구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 재무부는 더욱 정제된 요구 리스트를 준비 중이라고 WSJ는 전했다. 이 요구안에는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 축소를 비롯해 자국 내 기업에 대한 보조금 축소, 철강·알루미늄을 포함한 산업재에 대한 과잉생산 해소, 미국 기업에 대한 기술이전 강요 중단, 4월 이후 10% 가까이 하락한 중국 위안화 절상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건은 중국의 태도다. 현재 무역전쟁 초기 국면은 미국보다 중국 측 피해가 크기 때문에 미국이 협상력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결국 중국이 어느 정도 양보안을 제시할지가 이번 회동의 성과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WSJ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이 참모들에게 가능한 한 빨리 미·중 관계의 안정화를 시도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져 이번 회동이 주목된다. 더구나 이번 회동은 양국 간 160억달러 규모 상대국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시행일 하루 전에 열리는 것으로 파국을 막기 위한 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뉴욕 = 장용승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