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2 (수)

바른미래 당권주자들, 6·13 낙선자들에 구애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낙선계, 책임당원이거나 표심에 적지 않은 영향 줄듯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 퇴직 등 '구조조정'도 영향

뉴스1

18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에 있는 KNN에서 열릴 바른미래당 당대표 선출 합동 토론회를 앞두고 출마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준석, 손학규, 권은희, 정운천, 하태경, 김영환 후보 (바른미래당 제공) 2018.8.18/뉴스1 © News1 박기범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바른미래당 9·2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대회(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에 도전한 후보들이 최근 같은 당의 6·13 지방선거 낙선자들에 대한 '구애'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전당대회에서 행사되는 전체 유효표의 75%가 책임당원(50%)과 일반당원(25%)에게 몰린 만큼 1000명이 넘는 낙선자들과 그들이 갖고 있는 지역 조직의 표심을 얻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특히 낙선자들은 대부분이 책임당원이거나 당원들의 표심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점쳐진다. 후보들이 각각 물밑에서 낙선자들을 만나는 행보를 이어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낙선계를 놓고 주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당권주자들은 김영환·이준석 후보이다. 두 사람 모두 이번 지방선거에서 낙선의 고배를 마셔, 낙선계와는 동병상련의 입장이다.

김 후보는 지난 16일 핵심 공약 토론회에서 "가시밭길 위에 서있는 낙선자를 천막 안에 모아야겠다"며 중앙당 당직 배치 및 비례대표 후보로 공천 등을 통한 낙선자 정당을 약속했다.

김 후보는 또 청년·여성·지방선거 출마자 등 인력풀에서 인재를 등용하겠다는 내용의 인재뱅크 운영 전당대회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이 후보는 지난 13일 공명선거 선포식에서 "중앙당의 횡포로 인해서 낙선한 분들, 그 마음을 한 번이라도 어루만진 적이 있는가"라면서 낙선자의 마음을 대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후보는 특히 똑같이 낙선자 표심에 손길을 내밀고 있는 김 후보를 겨냥, 김 후보가 지방선거 때 경기지사 선거비용으로 8억4000만원의 정당지원금을 받은 점을 문제 삼고 있다.

이 후보는 16일 "낙선자 중에서도 당당할 수 있는 낙선자, 책임질 낙선자가 있다"며 "김 후보는 10억원 가까운 당 지원을 받아 선거 나갔는데 득표율 4%"라면 반성을 촉구했다.

또한 일부 후보들은 지방선거 때 중앙당 상임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아 지방선거를 진두지휘했던 손학규 후보를 겨냥해 선거 참패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낙선자들은 바른미래당이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원인 중 하나로 서울 송파을 국회의원 재선거 공천파동을 지목하고 있는데, 이는 손 후보의 전략공천 여부가 배경이 됐었다.

이와 함께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으로, 현재 진행 중인 바른미래당 사무처 구조조정과 관련해 바른정당 중앙당 사무처 당직자 17명이 자진 퇴직한 사건도 또 하나의 변수가 되고 있다.

이들은 지난 17일 자진 퇴직 하겠다면서 남은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 21명의 지위 유지 등을 주문했다. 이에 대해 바른정당 출신 당권주자들은 안타까움을 표하고 있다.

하태경 후보는 최근 페이스북에 "저희 당을 제1야당으로 만들어 이분들은 반드시 다시 모시겠다. 우리 당직자는 단순 직원이 아니라 동지"라고 적었다.

이 후보도 페이스북을 통해 "지금 한쪽에서는 지난 2년간 당을 위해 고생했던 사무처 당직자들, 그들 중에서도 바른정당 출신들의 퇴직을 압박하는 상황"이라며 안타까워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의 자진 퇴직에 국민의당 출신 후보에 대한 바른정당 출신 당원들의 반발 심리를 일으킬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편 하 후보는 19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앞서 손 후보가 박근혜 정부의 거국내각 총리 제안이 오면 수용할 의사가 있다고 했으면서 이를 뒤집었다며 사과를 촉구했다.
pej86@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