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평화가 경제" 文대통령 축사에 北 반응은…일단 '고심 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남북관계 확대'와 '비핵화' 언급에 수위 조절 고심할 듯

공식·비공식 채널로 南 입장 재확인 나설 가능성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과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18.8.15/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서재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축사에서 남북관계에 대해 '속도'를 낼 것을 천명함에 따라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 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의 광복절 축사의 메시지는 "평화는 경제"라는 말로 압축된다. 북한이 비핵화와 관련된 구체적 행동을 보일 경우 대대적 경제 협력 재개를 통해 새로운 남북 번영 시대를 여는 데 주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구체적인 당근도 제시했다. 북측이 그간 꾸준히 제기해 온 금강산 관광 재개와 개성공단 재가동, 도로 및 철도 현대화, 지하자원 개발 사업으로 '30년 간 170조 원'의 경제 성장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입장에선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남북관계의 진전을 위한 '큰 보폭'을 내민 것은 분명하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특히 대북 제재 문제로 남북미가 불협 화음을 내는 상황에서 대대적인 경제 교류를 공언한 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신뢰도의 문제가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꾸준히 주도적 남북관계나 우리 측의 전향적 태도를 요구해 왔으나 정작 비핵화 협상이나 대북 제재 문제가 돌파구를 찾지 못할 경우 북한 역시 움직일 공간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자칫 미국에게 잘못된 메시지가 전달될 경우 종전선언 논의가 걸린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테이블서 불리한 위치에 앉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 역시 북한의 입장에선 부담이다.

문 대통령이 '비핵화'를 언급한 것도 신경이 쓰일 부분이다. 사실상 비핵화를 전제로 한 경제 협력이 제안된 것이라는 판단에서 오히려 우리 측에 대한 비난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통상 통일전선부 등 대남 파트에서 진행하는 경축사 분석에 다른 때보다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과의 비핵화 대화,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고위듭 회담 등 대화가 진행되고 있어 경축사 분석을 위해 필요한 대외 정세 판단을 위한 정보 수집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다.

특히 북한은 한미 간에 대북 제재 문제와 관련한 모종의 논의가 있었는지 여부를 두고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미 국무부가 "매일 이뤄지고 있다"는 북미 대화 채널을 통해서 이 같은 동향을 파악하려는 시도를 할 가능성이 높다.

남북 당국자가 만나는 대화 테이블에 마주앉는 것 역시 북한의 입장에선 '속 시원한' 방법일 수 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의 경축사에 대한 '해설'을 듣고 우리 측의 진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남북이 '9월 평양 정상회담' 논의를 위해 추가 고위급 협의를 진행키로 한 만큼 북한은 이른 시기에 추가 회담을 제의하고 나설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남북관계에 속도를 내기로 정한 정부가 북한에 회담을 요청해 추가적인 입장을 설명할 수도 있다는 관측을 제기하기도 한다.

또 이미 남북이 물밑 채널을 가동해 정상회담 논의를 진행했던만큼 이 채널이 가동될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이 같은 맥락에서 대남 유관 기구나 매체를 통한 입장을 발표하기보다는 공식·비공식 채널을 가동하며 우리 측의 진의를 파악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6일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근본 입장'이라는 제목의 정세론 해설에서 "민족자주의 원칙과 어긋나게 우리에 대한 '제재압박유지'를 떠드는 미국의 눈치를 살피며 외세의존에 매달린다면 겨레의 지향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신문의 이날 논조는 최근들어 '제재와 외세'를 언급하며 우리 측을 압박하던 방식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 등에 대해서도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seojiba3@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