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전기요금 인하 나비효과! 8월 물가채 발행 전무 ‘11개월만 처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재부, 물량 적고·특이사항없어 별도조치 않기로..내달 추가발행 요구 있을 경우 반영

정부의 전기요금 인하 조치에 물가연동국고채(물가채)가 직격탄을 맞았다. 8월 물가채 발행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말인 12월을 제외하고 매월 발행되는 물가채가 발행되지 않은 때는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이다.

이투데이

(기획재정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4일 기획재정부와 채권시장에 따르면 이달 국고10년 물가채 발행이 전혀 없었다. 당초 예정금액은 국고채 전문딜러(PD)와 예비 국고채 전문딜러(PPD)분 1000억 원과 이를 제외한 일반인분 100억 원을 합한 1100억 원이다.

물가채는 경쟁입찰이 아닌 인수로 결정된다. 또 국고채 10년물 입찰 당일 오후 2시30분부터 오후 3시30분까지 신청을 받는다. 이달 국고채 10년물 입찰은 13일 진행된 바 있다.

물가채 금리 스프레드는 국고10년물 경쟁입찰 전 5영업일간의 장내 금리 스프레드의 산술 평균 값으로 결정된다. 이번 물가채 발행금리는 1.649%였다.

이와 관련해 기재부 관계자는 “전기요금 인하 조치로 다음번 소비자물가(CPI)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던데다 13일 물가채 인수신청 당시 가격이 하락(금리 상승)했던 것도 PD 등이 물가채 인수를 꺼린 요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몇 군데 PD들에게도 확인한 결과 특별한 사유가 아니라는 판단을 내렸다. 물량 규모도 크지 않아 조치를 취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했다”며 “물가가 떨어진 이후인 다음달엔 오히려 더 많이 발행해달라는 요구가 있을 수 있어 보인다. 이 경우 이를 반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기재부는 올해부터 PD와 일반인을 합해 매월 총 1100원어치(선매출시 2200억원)씩 발행을 추진해 오고 있는 중이다. 이에 따라 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다음달 국고채 발행계획 발표시 물가채 발행규모를 늘릴 여지를 남겨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폭염으로 인한 전기요금 부담에 대한 국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7~8월 한시적으로 3단계 누진구간 중 1~2단계를 각각 100kW(킬로와트) 상향 조정하는 내용의 전기요금 지원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물가채란 원금 및 이자지급액을 물가에 연동시키는 채권이다. 채권의 원금은 물가채 발행당시의 액면가에 지급일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행일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눈 물가연동계수를 곱해 산출한다. 이자지급액도 원금액에 표면이율을 곱해 산출된다는 점에서 이자도 물가수준에 따라 변동된다. 결국 소비자물가가 높아질수록 투자자에게 유리한 채권이다.

[이투데이/김남현 기자(kimnh21c@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