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인천 광역버스 21일 운행 중단 예고…준공영제 도입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인천 광역버스 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인천시에 준공영제 도입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에서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운행 중단을 예고하면서 인천시가 어떠한 대안을 내놓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업체들은 적자보전과 준공영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지만 시내버스에만 연간 10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는 인천시로서는 재정 부담을 감당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13일 시에 따르면 인천 6개 광역버스 업체는 오는 21일 첫차부터 19개 노선 버스 259대의 운행을 중단하겠다며 시에 노선 폐지 신고서를 냈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16일까지 수용 또는 반려 여부를 결정해 업체에 회신해야 한다.

노선 폐지를 수용할 경우 새 운송사업자를 구할 때까지 인천 광역버스의 75.3%의 운행이 멈추게 돼 인천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큰 불편이 예상된다.

노선 폐지를 신고한 업체는 신강교통(1100·1101·1601·9501·9802번), 인강여객(9100·9200·9201번), 선진여객(9300·1800번), 천지교통(1300·1301·1302·2500번), 마니교통(1000·1400·1500·9500번), 신동아교통(1200번)이다. 이들 노선은 인천에 본사를 둔 광역버스 업체 노선으로, 국토교통부의 면허를 받아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M버스) 노선과는 다르다.

6개 업체는 "적자 운행과 광역버스 근로자 부족으로 해당 사업을 더 지속할 수 없을 정도의 상황에 이르렀다"며 "인천시에 광역버스 기사실태를 여러차례 보고하고 재정지원을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며 노선 폐지 신고를 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인천시 조사결과 인천 광역버스 1대당 1일 운송원가는 56만9480원이지만 운송수입은 53만6130원으로, 지난해 6개 업체의 적자가 총 22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 시급은 지난해 6470원에서 올해 7530원으로 16.4% 올라 6개 업체의 인건비가 120억6400만원에서 140억4100만원으로 19억7700만원(16.4%) 늘어났다.

반면 광역버스 이용객은 지난 2013년 2만3266명에서 2014년 2만2487명, 2015년 2만924명, 2016년 2만144명으로 계속 감소 추세에서 지난해는 1만6856명으로 급감했다. 이는 수인선,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 등 수도권 철도망 확충이 광역버스 이용객 감소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승객 감소에 더해 올해는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적자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인건비 상승분만 19억7000만원으로 올해 적자는 42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천 광역버스 업체들은 "인천시가 하반기 추경예산에 광역버스 지원금 23억원을 반영해주겠다고 했다가 이를 백지화했다"며 "당장에 적자보전과 함께 시내버스처럼 광역버스에도 준공영제를 적용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광역버스 운전기사들도 "인천 시내버스에는 준공영제가 도입됐지만 광역버스는 제외된 탓에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근로자 간 처우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며 "광역버스 기사는 월수입이 250만원 수준인데 반해 시내버스 기사가 350만원 가량으로 임금 격차가 크다"고 주장했다.

인천시는 2009년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했지만, 상대적으로 소규모 단체인 광역버스업계는 준공영제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시는 광역버스 업체들이 '노선 폐지'라는 카드를 내밀며 압박하고 있지만 적자보전과 준공영제 도입 요구에 대해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준공영제 시행으로 시내버스에만 연간 1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데, 광역버스까지 확대되면 최소 200억원에서 최대 700억원의 추가 지원이 필요해 부담이 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한 경기도는 도와 일선 시·군이 함께 비용을 부담하지만 인천의 경우 자치구 분담없이 시 예산으로만 충당해야 하는 상황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광역버스 업체에 대한 적자 보전은 준공영제 시행 여부와 맞물리는 문제로, 우선 준공영제 논의부터 마무리 하고 재정 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아울러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제 도입 등 정부시책에 따른 버스업체들의 적자분에 대해선 국비 지원이 함께 이뤄져 한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