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정부 5조원 들여 플랫폼 경제·4차산업혁명 인재 키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빅데이터·블록체인 등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경제와 초연결인공지능, 수소경제를 미래 전략산업으로 선정하고 내년도 예산 5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혁신성장을 가속화할 선도사업에 바이오·헬스 분야가 추가됐다.

13일 정부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혁신성장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플랫폼 경제 구현을 위해 ① 데이터·블록체인·공유경제(데이터 경제), ② AI, ③수소경제를 3대 전략투자산업으로 선정하고, 이들 분야의 혁신인재 양성방안을 묶어 혁신성장을 위한 우선 투자대상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들 분야에 1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올해보다 6000억원(71%) 증가한 규모다.

빅데이터를 활성화하고 공유경제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활용의 기반이 되는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관련산업과의 연계성을 높여 고부가가치의 신산업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수소경제를 전략적으로 육성해 성장과 기후변화 문제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방안도 담겼다. 수소차량과 선박 등 수소를 동력으로 하는 교통수단을 개발하고 충전소 등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창업단계의 스타트업 등이 플랫폼의 접근에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바우처를 지급하고 공유오피스 등을 활성화하는 등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정부는 획일적 교육시스템과 창의적 인재 부족으로 선진국보다 플랫폼 경제 관련 기술(빅데이터, 자율주행 차량)이 뒤쳐진 상황이라며 향후 5년간 핵심인력 1만명을 양성한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현재의 교육시스템과 별도인 비학위 과정의 혁신 교육기관을 민관 합동으로 세울 방침이다. 특히 AI분야는 국내 교육기관이 뒤쳐졌다고 판단해 연간 500명을 선발해 해외 유명 기업이나 연구기관에서 인턴십이나 공동연구를 할 기회를 갖게 할 방침이다. 동시에 국내 AI대학원도 신설할 방침이다.

정부가 적극 육성하기로 한 8대 선도사업(스마트공장, 스마트팜, 스마트시티, 드론, 미래차, 신재생에너지, 핀테크, 바이오·헬스)에도 지난해보다 1조3500억원(62%) 늘어난 3조5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들 분야의 R&D를 지원하고 공공기관이 드론 구매 등을 늘릴 방침이다.

기존 8대선도사업에 포함돼 있던 AI는 전략투자산업으로 격상돼 빠지고, 바이오·헬스 분야가 새로 추가됐다. 지난 6일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은 김 부총리의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방문 간담회에서 바이오산업의 규제완화를 건의한 바 있다.

<박은하 기자 eunha999@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