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전두환 범종' 반환 문제, 이르면 내달 결론 날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시·518단체, 대체범종 제작·반환안 군종교구에 제안

9월까지 추가 면담…광주로 가져오면 5·18기록관 등 전시

연합뉴스

'전두환 범종(梵鐘)'으로 알려진 전남 장성 상무대 군 법당 범종 [광주시 제공]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전남 장성 상무대 군 법당에 있는 이른바 '전두환 범종(梵鐘)' 반환 문제가 이르면 내달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13일 광주시 인권평화협력관실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육군본부 군종실에서 5·18단체와 광주시, 대한불교조계종 군종특별교구 관계자가 범종 반환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광주시와 5·18기념재단,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 관계자는 대체 범종 제작과 반환 안을 제시했다.

시와 5·18단체는 범종을 반환받으면 역사적 유물인 만큼 5·18민주화운동기록관 등에 전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범종 자체를 불교에서는 성물(聖物)로 여기는 만큼 녹여 없애는 계획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

군종교구 측은 광주시와 5·18단체가 제시한 의견을 검토하고 나서 논의를 이어가자는 뜻을 전했다.

내달까지 2∼3차례 더 면담하고 나서 범종 반환 여부를 정할 것으로 보인다.

장성 상무대 무각사(武覺寺)는 광주시민의 뜻을 존중해 지난 2년간 범종을 타종하지 않고 관리만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거리인 범종은 전두환 전 대통령이 상무대가 광주에 있을 때인 1981년 무각사를 방문해 자신의 이름을 새겨 기증했다.

전 전 대통령뿐만 아니라 군과 일반신도 등도 함께 시주해 만들었다.

범종은 1994년 상무대가 장성으로 옮겨간 이후에도 광주 5·18기념공원 내 사찰인 무각사에 그대로 보관됐다.

2003년 범종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반발이 일자 2006년 장성 상무대 무각사로 옮겨졌다.

h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