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최저임금 급등에 車보험료도 3~4% 가량 오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업계 "폭염 등 악재 누적돼 보험료 인상 불가피"

금융당국 "합당한 수준 인상에 관여할 방법 없어"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료가 약 2년 만에 오를 전망이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정비요금 상승, 폭염으로 인한 사고율 증가 등이 맞물린 결과다.

5일 금융당국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주요 손해보험사들은 올해 안에 자동차보험료 인상 시기와 폭을 저울질 중이다. 인상 폭은 최소 3~4%, 시기는 오는 10월께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보험료 인상 요인들이 누적됐다”며 “손해율이 갈수록 나빠지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도 “일부 대형 손보사가 하반기 보험료 인상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인상 요인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자동차보험료 인상은 2016년 말 이후 약 2년 만이지만, 여론은 부정적일 수 있다. 자동차보험은 지난해 19년 만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를 반영해 업계는 보험료를 소폭이나마 내리기도 했다. 이어 1년도 안 돼 다시 보험료를 올리자니 부담스럽다는 견해가 업계에 없지 않다.

업계는 정비요금 인상 외에도 자동차보험의 ‘악재’가 누적돼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대로는 하반기에 7,000억∼8,000억원의 적자를 떠안을 판이다.

보험료 인상의 가장 큰 원인은 최저임금 급등에 따른 정비요금 인상이다. 보험개발원 분석에 따르면 지난 6월 29일 국토교통부의 적정 요금 공표로 평균 2만5,100원인 정비업체 공임이 2만9,994원으로 19.5% 오른다. 이에 따라 보험금 지급이 연간 3,142억원 늘고, 2.9%의 보험료 인상 요인이 생긴다.

통상 삼성화재가 보험료를 올리면 현대해상,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등 다른 대형 손보사들과 나머지 중·소형 손보사들이 시차를 두고 보험료를 따라 올린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 관계자는 “정비요금 말고도 보험료 인상 요인이 많은 게 사실”이라며 “최근 손해율 악화 역시 경영을 어렵게 한다. 올해보다 내년이 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다른 보험업계 고위 관계자는 “정비요금은 오르는데 보험료를 올리지 않으면 손보사들, 특히 중·소형사들은 버티지 못할 것”이라며 “당연히 올려야 하는데 손보사들이 눈치만 보는 형국”이라고 전했다.

올해 1분기 말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2.6%를 기록했다. 적정 손해율 77∼78%를 웃돌았다. 2분기 말 손해율 역시 80%대 중반에 달할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7월 들어 교통사고가 급증했다. 사고가 1% 증가하면 손해율은 0.7∼0.8% 상승한다. 손보협회는 7월 말 손해율이 6월 말보다 6%포인트가량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손해율이 90%에 육박한다는 의미다.

손해율이 커진 원인으로는 이례적인 폭염이 지목된다. 삼성·현대·DB·KB 등 ‘빅4’에 한화손해보험과 메리츠화재를 더한 6개사 기준 7월 1∼26일 사고는 68만3,491건 접수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8%, 올해 6월 1∼26일보다도 8.5% 늘었다.

손보협회 관계자는 “올해 7월의 사고 증가율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폭염이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폭염은 언젠가 사라질 일시적 현상이지만, 손해율 악화는 틀림없는 사실”이라며 “보험료 인상이 연중에 이뤄지지 않으면 중·소형사나 자동차보험 비중이 큰 손보사를 중심으로 적자를 감내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정비요금 인상, 손해율 악화 외에 최저임금 인상, 병원비 지급 증가 등도 자동차보험 적자를 키워 보험료 인상을 압박한다. 한 대형 손보사 분석에 따르면 올해 최저임금 16.4% 인상으로 일용임금이 5.6% 오르고, 그만큼 사고 때 지급되는 소득보상금(휴업손해, 상실수익액 등)이 늘어난다.

또 올해 7월부터 상급·종합병원 2∼3인실에 건강보험이 적용돼 자동차보험으로 청구되는 병원비가 연간 550억원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익명을 요구한 대형 손보사 고위 관계자는 “보험료 인상 압박이 7∼8%는 된다는 게 자체 판단”이라는 설명이다. 금융당국 안팎에선 최소 7∼8%의 절반은 반영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금감원 관계자는 “합당한 사유로 보험료를 적정 수준 올리는 데 당국이 관여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강신우기자 see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