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중소ㆍ중견기업 5개이상 모여 스마트공장 도입하면 정부가 비용 50%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기부, ‘2018년도 업종별 특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 6일 공고

중소ㆍ중견 기업 5개사 이상이 모여 스마트공장을 공동구매할 경우 정부가 비용의 50%를 지원해주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기업들이 공동구매 방식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2018년도 업종별 특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을 6일 공고한다고 5일 밝혔다.

업종별 특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은 유사 제조공정을 가진 중소ㆍ중견기업 5개사 이상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 경우 정부에서 비용의 일부(50%)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입 기업들은 양질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축할 수 있고 공급기업은 동일한 시스템을 다수 기업에 판매해 높은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기업이 개별적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경우 5000만 원의 비용이 필요하다면 유사 공정을 가진 5개 이상의 기업이 공동으로 도입하면 동일 솔루션을 4000만 원에 구매할 수 있는 방식이다.

중기부는 이번 사업에 총 30억 원 내외를 지원할 예정이다. 기업은 스마트공장 도입 비용의 50% 이내에서 최대 40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단체는 자체적으로 공급기업을 선정해 유사 제조공정을 가진 기업을 최소 5개사 이상 모집하고, 전담기관(스마트공장추진단) 홈페이지에서 양식을 다운받아 이메일(kosf@smart-factory.kr)로 신청하면 된다. 기업・단체가 공급기업을 선정하지 못할 경우 전담기관에서 공급기업 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번 사업은 HACCP 위생관리제도 강화 등 정부정책 변화나 정부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을 우선 지원하고, 청년 선도 산단 등 유사 업종이 밀집한 지역에서 신청할 때도 가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다.

조주현 중기부 기술인재정책관은 “이 사업은 국정과제이자 정부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로서 시행 중”이라며 “그동안 자금부담 등으로 스마트공장 도입을 주저하던 기업들에 혜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사 시스템을 구축한 기업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스마트공장을 통한 협업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투데이/이지민 기자(aaaa3469@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