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자영업자 금융지원에 공들이는 은행권…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영업자 대출 소폭 증가‥경영컨설팅 등 측면지원 강화

"포용적 금융 실천…미래고객 발굴·대출 부실 제한 등 효과도"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은행권이 자영업자 지원에 공을 들이고 있다. 창업분야에 금융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경영 컨설팅이나 세무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면지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데일리

2일 금융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으로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자영업자(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총 183조원 규모다. 작년 말 174조원 규모에서 약 9조원(5.2%) 늘었다.

은행권 전반적으로 부동산 임대사업자 대출을 옥죄고, 사후관리가 한층 깐깐하게 진행하는 분위기 속에서도 전체 자영업자 대출은 소폭 늘어난 셈이다. 최근 내수경기가 얼어붙은 데다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비용부담이 커지면서 자영업자의 대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생활자금이나 주택 구매 자금으로 쓰려는 목적의 자영업자 대출은 엄격히 규제하면서 정상적인 사업 대출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관리하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간접적 지원도 대폭 늘리고 있다. 특히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거나 신규 창업을 준비하는 자영업자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우리은행은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전국의 8개 지역 신용보증재단과 특별출연 협약을 맺고, 특별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240억원을 출연했으며, 올해 5000억원 규모의 금융을 지원할 계획이다. 신한은행도 소상공인 성공지원 컨설팅 센터를 전국 주요 지역에 공동 구축하고 금융지원과 교육·컨설팅을 대폭 강화한다. 프로그램에 성실히 참여한 소상공인에 대해서는 은행 대출 지원 및 금리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국민은행도 소호 분야의 노하우를 활용해 비금융 서비스와 창업 마케팅을 지원하고 있다. 하나은행도 프랜차이즈 가맹점이나 경영난을 겪는 자영업자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 중이다.

은행권이 자영업자 지원을 늘리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배려하라는 정부의 정책에 부응하기 위한 차원이다. 금융감독원은 영세 자영업자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독려 중이고, 금융위원회도 실패한 자영업자에게 특화한 대출상품을 은행권과 논의 중이기도 하다. 자영업자의 경쟁력을 높이면 미래 고객을 발굴하면서도 대출 부실화를 막는 ‘일석이조’의 효과도 있다.

은행 관계자는 “소상공인 지원을 통해 상인도 돕고 지역경제에도 보탬이 될 수 있는 만큼 생산적 금융을 늘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