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설] 600만 환자 놀라게 한 발암물질 고혈압약 사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말에 전국 600만 고혈압 환자의 가슴을 내려앉게 하는 일이 벌어졌다. 중국산 고혈압 치료제 원료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돼 보건당국이 해당 성분 사용허가를 받은 82개사 219개 제품의 판매·제조를 중지시킨 것이다. 문제의 고혈압약은 중국 제지앙 화하이사가 제조한 ‘발사르탄(Valsartan)’을 원료로 사용한 제품이다. 발사르탄은 혈관을 수축하는 호르몬을 억제해 혈압을 낮추는 성분이다. 최근 3년간 중국산 발사르탄의 국내 제조·수입량은 전체의 2.8%(1만3770㎏)에 불과하다. 하지만 고혈압 환자들은 패닉에 빠졌다. 복용 중인 약이 안전한지를 확인하려는 이들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가 마비되기도 했다.

식약처의 이번 조치는 유럽의약품안전청(EMA)이 지난 5일 발사르탄 불순물에서 발암물질이 나와 제품을 회수 중이라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식약처가 주말을 넘기지 않고 219개 제품 명단을 공개한 것은 적절하다. 발암물질 검출량과 위해성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환자들의 불안을 고려해 추가적인 의사 처방을 금지한 것도 당연하다.

문제는 이미 해당 약품을 처방받은 환자들이다. 일반인조차 전문용어 투성이인 제품명을 일일이 확인하기 버거운데 전체 환자의 33%나 되는 노인들은 어쩌란 말인가. 농어촌 지역의 경우 즉각 보건소를 통해 확인해 주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담당 의사가 직접 환자에게 알려주거나 건강보험공단 진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약물 복용 공백도 최소화해야 한다. 고혈압약은 대개 두세 달치를 한꺼번에 처방받는다. 당장 오늘부터 약을 대체하려는 환자들로 일부 병원과 약국이 북새통이 될 수도 있다. 보건당국은 신속한 처방과 기존 약 환불 등 꼼꼼한 후속조치로 환자들의 불안감을 씻어줘야 한다. ‘문재인 케어’를 성공시키려면 돌발 상황을 매끄럽게 해결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