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사설] 新남방정책 속도 올릴 文대통령의 인도·싱가포르 방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5박6일 일정으로 인도와 싱가포르 순방 길에 올랐다. 두 나라는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처음 방문하는 곳으로, 신남방정책의 교두보 역할을 한다는 면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방문에 100명 넘는 경제사절단이 동행하고 경제 일정이 많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인도에서 삼성전자 노이다 공장 준공식에 참석해 이재용 부회장을 만날 예정인데, 신남방정책에서 기업 역할을 강조하는 행사로 볼 수 있다. 내일 열리는 한·인도 CEO 라운드 테이블에서는 쌍용차 최대주주인 마힌드라그룹 회장 등 양국 기업인들과 신남방정책에 속도를 내기 위해 다각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와 싱가포르를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은 '포스트 차이나' 시대를 맞아 우리 경제에 버팀목이 될 수 있는 대안이다. 미국과 중국, 유럽연합(EU) 등 주요 경제권의 무역전쟁에 대비하려면 수출 다변화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라도 이들 국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다행히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과 교역 규모는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5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기준 기업 특성별 무역통계'를 보면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대상 수출액이 처음으로 중국을 앞질렀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6%에 달했고 무역수지도 754억달러로 중국에 비해 300억달러 이상 많았다. 이번에 문 대통령이 방문하는 인도 역시 우리나라의 7번째 수출 상대국으로 잠재력이 큰 곳이다. 지난해 대인도 수출 증가율은 29.8%로 전체 평균 대비 약 2배에 달했다. 하지만 인도 수입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3.4%로 15% 넘는 중국에 턱없이 낮아 적극적인 공략이 필요하다.

인도와 동남아는 정치적으로 안정돼 있으면서 경제성장률이 높은 '황금시장'이다. 젊은 인구가 많아 첨단 산업 발전 가능성도 큰 편이다. 그러다 보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모든 선진국이 진출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런 만큼 정부와 기업이 손을 잡고 치밀한 전략을 세워야 성공할 수 있다. 신남방정책은 우리나라가 미국과 중국 의존도를 줄이면서 경제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유일한 돌파구다. 문 대통령의 이번 순방을 통해 신남방정책이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