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 중단’이 야기할 끔찍한 미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재활용폐기물 수입을 전면 중단한 가운데, 세계 최대 쓰레기 수입국의 수입 중단이 미칠 영향을 예측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 정부는 지난 1월 비산업적인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수입을 영구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영국과 프랑스 등 유럽 국가와 한국 일본 등 다수의 국가가 재활용 쓰레기 수출길이 막히면서 세계적인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왔다.

미국 조지아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1992년 이후 중국이 전 세계로부터 수입한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은 1억 600만t에 이른다. 이는 전 세계 플라스틱 쓰레기 수입량의 72%에 달하는 양이다.

유럽이나 북미,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국들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중국으로 수출하는 ‘고객’이었다. 이들 국가들은 재활용 쓰레기를 직접 처리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 비용을 피하기 위해 중국으로 싼 가격의 쓰레기를 팔아치워 왔다.

연구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지난 1월 재활용 폐기물 수입을 전면 중단하기 이전까지, 2016년 기준 전 세계 플라스틱 쓰레기의 수입과 수출량은 1993년 대비 800%가량 증가했다.

2030년까지 중국 정부의 쓰레기 수입 중단 조치로 전 세계에서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은 1억 1100만t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쓰레기는 중국에게 있어 상당히 이익이 되는 비즈니스였다. 중국은 쓰레기를 값싸게 수입해 재활용하거나 되팔아 수익을 거둘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래 들어 지나치게 많은 쓰레기가 중국으로 몰려들었고 이것을 수익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엇보다도 중국 내에서 생산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이 절대적으로 증가했다. 다른 나라의 쓰레기에 의존할 필요성이 없어진 것”이라면서 “중국이 쓰레기 수입을 중단한 이후 일부 쓰레기들이 다른 나라로 옮겨질 수는 있겠지만, 대다수의 나라는 이를 처리할 만한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세계 각국이 재활용 제도를 강화하는 동시에,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중국의 재활용폐기물 중단에 대처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미국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웰 메이드 N],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인기 무료만화]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