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식량난 해법으로 떠오른 '스마트 농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기업 ICT 활용기술 보급.. 농진청, 버섯 재배에 적용
aT, 빅데이터로 수급 조절.. 생산성 올라 농가들도 만족


농촌에도 '스마트 농업'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기존 농업에 ICT(정보통신기술) 등을 접목하면서 제품의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데다 생산량도 늘릴 수 있어 미래 식량난 해결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식품 분야 공공기관들은 잇따라 ICT 융복합 기술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관련 기술이 농가에 정착할 경우 개방화, 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농가의 생산성 향상 효과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 팜 규모는 시설원예의 경우 지난 2014년 60ha에서 2015년 364ha로 5배 이상 증가했다. 축산도 같은 기간 30호에서 156호로 크게 늘어났다.

시장조사기관인 마켓앤마켓은 세계 스마트팜 시장 규모가 2016년 90억달러에서 2022년 184억달러로 두 배 이상 커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처럼 스마트 팜이 각광받는 이유는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실시간으로 생육정보와 환경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작물의 상태, 성장률을 분석해 최적의 작황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부터 느타리버섯 재배 환경기술 시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느타리버섯 재배시설의 내부 환경을 개선하고 재배관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온실을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온실 내부에는 공기순환시스템, 생육환경제어시스템, 내부 환경 모니터링 센서 등이 갖춰져 있어 생육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농가의 만족도도 높다. 실제 농진청은 지난해 실시한 양평·고성·청주·김제·칠곡·의령 등 10개 지역을 대상으로 스마트온실을 통한 느타리버섯 재배 시범 사업 결과 농가의 생산량과 소득이 평균 25%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올해부터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시스템' 시범 가동에 들어갔다. 빅데이터 및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농산물 가격예측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수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다. 기존 수급정보종합시스템에 더해 농협,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수출입은행 등 유관기관의 데이터를 추가했다.

이를 통해 향후 농산물 수급대책이 적기에 운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