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감소?" "오히려 새로운 일자리 생겨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경련 일자리 전망 세미나
일자리 소멸 우려 대신해
일부 직무 자동화로 대체
새로운 직무 등장 가능성


4차 산업혁명으로 극단적인 일자리 소멸보다는 개별 근로자의 직무 일부가 자동화되는 방식으로 일자리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권태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은 19일 서울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한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전망' 세미나에서 "우리나라는 규제 때문에 혁신하기 어려운 나라 중 하나"라며 "드론배달산업은 항공규제로, 인공지능(AI) 의료서비스는 의료법 위반으로, 빅데이터 서비스는 개인정보보호법 제한으로 기업들의 접근조차 어려운 분야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부회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법과 제도의 혁신에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AI, 빅데이터,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수 많은 일자리를 소멸시키기보다는 재교육을 통한 직무 전문성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최병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업전략연구그룹장은 "기술의 빠른 변화 속에서 기계가 사람을 대체해 일자리가 사라지기도 하지만, 한 분야에서의 기술발전은 또다른 분야의 혁신으로 연결돼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만들게 될 것"이라며 "현재 사라지는 일자리보다는 보다 장기적인 시각에서 새롭게 생겨날 일자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혁 중앙대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일자리와 노동'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극단적으로 일자리가 사라지기보다는 개별 근로자의 직무 중 일부가 자동화되는 변화가 더 현실적이고,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한국이 자동화로 대체되는 노동력의 비중이 OECD 국가 중 가장 낮게 나오기도 했다"며 "오히려 자동화되는 직무 증가에 따른 소득 변화와 새로운 직무 등장의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일자리 수 증가와 일자리 질 향상 여부는 기술자체보다 기술진보에 대응해 경제주체들이 어떻게 제도적·정책적 적응을 하는지에 의존한다"며 "노사는 혁신적 변화에 대해 어떻게 적응할지를 얘기할 논의기구를 마련하는데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보영 포스코ICT 신사업개발그룹장은 "직접 철광석을 샘플링해 품질을 확인하고 쇳물의 온도를 재는 저숙련 근로자는 줄어든 반면 AI를 해석하고 철강산업에 적용하는 전문인력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