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제주4·3평화재단, 첫 국가문화재 지정 수악주둔소, 사라진 4·3마을 영남리 찾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뉴스

4·3역사 현장인 수악주둔소 성곽을 둘러보는 4·3평화재단 직원들과 4·3해설사들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ㆍ3역사 현장인 수악주둔소 성곽을 둘러보는 4ㆍ3평화재단 직원들과 4ㆍ3해설사들 모습. (제주=국제뉴스) 고병수 기자 =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양조훈) 직원들과 4ㆍ3해설사들은 18일 정부 등록문화재 제716호로 지정된 수악 주둔소와 4ㆍ3 잃어버린 마을–영남 마을을 찾아 유적지의 의미를 되새기며, 환경정화운동을 실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수악주둔소는 4ㆍ3과 한국전쟁 시기, 무장대 토벌을 위해 구축됐다. 현재 남아 있는 경찰 주둔소 중에서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이며 규모가 가장 크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이에 역사 현장으로부터 교훈을 얻기 위한 현장 유구로써 상징적 의미가 있어 최근 4ㆍ3유적지 중 최초로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제주43평화재단은 직원들의 43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 4ㆍ3유적지에 대한 보호의지를 높이기 위해 제주도가 조성한 4ㆍ3길과 4ㆍ3유적지을 찾아 제주의 다크투어리즘을 홍보하고 환경정화 활동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