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우리나라 국부 1경4000조 육박
작년 국민순자산 증가율 역대 최고치
땅값 올랐다…비(非)금융자산 급증 덕
가구당 순자산은 3억9000만원 육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국부(國富·국민순자산)가 1경3817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부동산값이 뛰면서 나라의 총재산도 크게 늘어났다.
국민순자산은 우리나라가 얼마나 많은 재산을 갖고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다. 가계 기업 정부 등 우리나라 경제주체가 생산하고 투자하고 소비하는 등 경제활동을 통해 보유하게 된 자산의 가치를 모두 더한 값이 국부다.
국민순자산은 국내총생산(GDP)와도 다르다. GDP는 매년 한 나라가 생산한 부가가치의 총합을 나타낸다. 한 개인 입장에서 보면 GDP가 특정 기간 벌어들인 소득이라면, 국민순자산은 그동안 모아놓은 재산을 뜻한다.
◇비금융자산 상승, 금융위기 이후 최고
한국은행이 19일 내놓은 국민대차대조표 잠정치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은 전년 대비 5.7%(741조5000억원) 늘어난 1경3817조5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명목 GDP의 8.0배에 이른다. 지난해(8.0%)와 같은 수준으로, 1995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최고치다.
국민순자산이 늘어난 것은 비(非)금융자산이 큰 폭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민순자산은 금융자산과 비금융자산으로 나뉘는데, 비금융자산은 다시 기업 투자 등에 쓰이는 생산자산(건설자산 설비자산 지식재산생산물 재고자산)과 토지 혹은 지하자원 등을 포함하는 비생산자산(토지자산 지하자원 입목자산)으로 각각 분류된다.
지난해 비금융자산은 1경3551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전체 국부가 늘어난 정도보다 더 증가했다.
특히 토지자산 증가율(6.6%)은 전년(6.2%)보다 컸다. 토지자산이 비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54.9%까지 올랐다. 2014년(53.6%) 이후 그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땅값이 큰 폭 오르면서 나라의 재산도 증가했다는 해석이 가능해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혁신도시와 제주도 및 세종시 개발 등에 힘입어 최근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건설자산 증가율도 6.5%로 전년(3.6%) 대비 3%포인트 가까이 급등했다. 건설자산은 주거용건물, 비주거용건물, 토목건설 등을 아우른다.
비금융자산의 가격상승률은 3.9%를 기록했다. 이는 비금융자산의 명목가액을 연쇄실질가액으로 나눠 계산한 것이다. 지난해 수준 정도면 금융위기 전인 2007년(10.6%) 이후 최고치다.
다만 지난해 순금융자산은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주가 상승 덕에 금융자산(1경4314조3000억원→1경5224조원, 909조7000억원↑)은 증가했지만, 외국인 투자가 많았던 만큼 금융부채(1경3978조5000억원→1경4958조원, 979조5000억원↑)는 더 큰 폭 늘었기 때문이다. 순금융자산은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 투자한 규모에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투자한 규모를 제외한 값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 3억8900만원 추정
가계·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순자산은 9750조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7.1% 증가했다. 증가 폭은 집값과 주가가 오르면서 2016년(5.8%)보다 확대됐다. 2014년과 2015년 당시 오름 폭은 각각 5.8%, 6.7%였다.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은 3억8867만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순자산에 우리나라 인구(5144만여명)을 나누고 다시 평균 가구원수(2.48명)을 곱한 값이다.
구매력평가환율(PPP)로 봤을 때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은 44만2000달러까지 증가했다. 2016년 처음 40만달러 선을 돌파한 이후 지난해 더 확대됐다.
다만 여전히 선진국과는 차이가 있다. 2016년 기준 미국(66만6000달러), 호주(68만2000달러), 캐나다(53만8000달러), 프랑스(53만2000달러), 일본(52만9000달러) 등은 우리나라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