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靑 "한미연합훈련 중단, 우리 정부 차원 '을지연습'도 중단 검토 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사진은 지난 5일 미 육군의 해외 기지 중 최대 규모로 알려진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는 오는 8월 한·미 연합군사훈련인 '을지 프리덤가디언(UFG)연습' 잠정 중단 결정에 따라 우리 정부 자체 비상대응 훈련인 을지연습도 중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을지연습에 대해 "중단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을지연습을 어떻게 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고 논의 중"이라면서 "프리덤가디언(한·미 연합훈련)처럼 같이 중단할 지, 예전처럼 그대로 할 지, 상황에 맞게 변화시키는 제3의 방식 등 세 가지 중 하나로 결정되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 앞서 18일(현지시간)미국 백악관은 북한이 선의를 갖고 행동하는 한 8월로 예정된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워게임(war game)' 형식의 지휘소훈련(CPX)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연습은 유엔사 주관의 '포커스렌즈 연습'에 한국정부 차원의 비상대응 훈련인 '을지연습'(1976년 통합), 두 개 훈련이 합쳐져 있다.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전쟁 게임이 아닌 국가비상사태에 대처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비상대비 훈련인 을지연습까지 중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대변인은 '한·미 연합훈련 중단에 따른 북한의 상응조치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등 비핵화 의지를 실천적이고 선제적으로 보여준 측면이 있다"며 "비핵화에 실천의 모습을 보이고 그리고 대화가 유지되는 한이라는 조건을 달고 있다. 그 두가지가 지속이 된다면 군사 연습도 계속 유예가 된다"고 답했다. 또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 관련 정보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김 대변인은 "북한과 중국의 상황에 대해서는 정부가 충분히 소식을 듣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이 시진핑 주석과 가장 많이 만나는 것으로 보인다는 시각에 대해 김 대변인은 "눈에 보이는게 다가 아니다"라며 "남북 사이에도 북미회담에 대한 평가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여러 채널을 통해서 충분히 소통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대변인은 남북 장성급 회담 안건으로 '천안함 폭침'이 거론됐다는 이날 한 매체 보도에 대해 "아예 고려(거론)되지 않았다"며 "모든 논의 과정에서 천안함의 '천'자도 나온 적이 없다. 단지, 향후 남북관계가 진전되고 군사적 신뢰가 쌓이면 적절한 계기를 통해서 협의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