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김성태 "중앙당 해체"…"헛다리 짚기" 당내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13 지방선거 참패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자유한국당이 18일 당 혁신안으로 '중앙당 해체' 카드를 꺼내 들었다. 중앙당 규모를 축소하고 원내 중심 정당으로 가겠다는 것이다. 김성태 당 대표 권한대행이 발표한 이날 한국당 혁신안을 놓고 일부 의원이 거세게 반발하면서 한국당 내홍이 깊어질 전망이다.

김성태 권한대행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앙당 해체 △당명 개정 △원내 중심 정당 구축 △구태 청산 태스크포스(TF) 가동 △외부 인사를 혁신비상대책위원장에 임명 등을 핵심으로 한 혁신안을 발표했다. 김 권한대행은 "지금 이 순간부터 곧바로 중앙당 해체 작업에 돌입할 것이라는 점을 말씀드린다. 당 대표 권한대행인 제가 중앙당 해체와 구태 청산 TF위원장을 맡아 청산과 해체 작업을 진두지휘할 것"이라며 "조직·정책 혁신도 맞물려 가도록 할 것이다. 마무리 작업으로 당의 간판(당명)을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담는 새로운 이름으로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김 권한대행은 "과거처럼 임시 처방식 비대위를 구성하고 적당히 혁신 소리를 내다가 전당대회로 가서 아무것도 변하지 않은 정당으로 남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당명 개정, 외부 인사 비대위원장 영입과 관련해서도 김 권한대행은 "(당명 개정은) 구태 청산 TF와 전권 혁신비대위가 구성돼 활동하게 되면 최종적인 종착역에서 이뤄질 것"이라며 "혁신비대위원장은 외부 인사를 모실 것"이라고 밝혔다. 당내 안팎에서 제기되는 인적 청산과 관련해 김 권한대행은 "혁신 비대위에서 아무래도 인적 청산 부분이 가장 중심이 될 것이다. 섣불리 예단하지 않고, 저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권한대행은 '해체 선언'에 대한 의미를 묻는 기자들 질문에 "원내 중심으로 가겠다. 이를 위해 중앙당 기능을 슬림화한다는 것"이라며 "중앙당 해체가 한국당 해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해체된 중앙당 규모는 지금의 10분의 1로 사실상 완전한 해체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김 권한대행이 '중앙당 해체' 방향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하진 않았지만 당내 일각에서는 결국 당 대표의 공천권을 최소화하고 전국 각지에 퍼진 시도당 권한을 축소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 정치 구조상 대부분 정당은 정당 국고보조금 대부분을 선거를 위한 조직 관리에 쓰고 있다. 대표적 '고비용·저효율' 구조에 메스를 들이댄다는 것이 김 권한대행 의도라는 분석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당 대표 권한을 완전히 축소하고 원내 정책 정당 중심으로 간다는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전당대회도 필요가 없어진다. 기존처럼 전당대회를 열고 서로 비방하면 혁신이고 뭐고 안 된다"고 말했다. 중앙당 핵심 권한 중 하나로 꼽히는 공천권 역시 대대적 개편이 불가피해진다. 중앙당에서 공천한 후보가 선거에 출마하는 구조가 아니라 지역에서 추천한 후보가 출마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변수는 당내 반발이다. 국민적 공감을 얻기에 앞서 김 권한대행 혁신안에 거부감을 드러내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김성태 혁신안'이 시작하기 전에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심재철 한국당 의원은 이날 혁신안에 대해 "절망적 헛다리 짚기"라고 비판했다. 한국당 한 중진 의원은 "김성태 권한대행에게는 중앙당 해체 같은 권한이 없다"며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김 권한대행 역시 사실은 물러나야 할 사람이다. 저항에 부닥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중진 의원 역시 "원내 중심 정당과 중앙당 해체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다. 이건 일종의 해프닝"이라고 말했다. 한 재선 의원은 "김성태 권한대행은 사회자다. 사회를 보라고 권한을 맡겼는데 해체를 하면 되겠느냐"며 "이 같은 중요한 사항을 혼자 마음대로 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비상대책위원장이 나오면 그 사람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모임을 가진 한국당 일부 재선 의원들 역시 "(중앙당 해체를) 상의 없이 한 것에 대해 의총을 소집하기로 했다"고 반발했다.

실제로 김 권한대행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활동한 만큼 홍준표 전 대표 등과 함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여기에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한 뒤 논의돼야 할 사항을 김 권한대행이 독단적으로 추진한다는 지적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보수 진영 혁신의 핵심으로 꼽히는 인적 청산과 관련해 별다른 진전이 없는 것도 한국당에는 부담이다. 인적 청산이 국민적 공감을 얻으려면 '자기 희생'이 필수적이지만 대부분 의원이 쉽게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한국당 의원 전원이 사퇴해도 효과가 있겠느냐'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김무성 한국당 의원이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당협위원장직을 내려놓고, 김용태 의원이 페이스북을 통해 "물러날 사람은 물러나자. 나는 이 모든 과정에서 백의종군하겠다"고 밝혔지만 추가 움직임이 눈에 띄지 않고 있다. 주요 계파 핵심 인사와 유력 당권 주자들이 인적 청산과 무관하지 않은 만큼 21대 총선 공천권을 놓고 다시 갈등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정석환 기자 / 홍성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