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도보다리 재연할 샹그릴라? 개발의 상징 샌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회담 개최 거론되는 4곳 르포

샹그릴라엔 산책로 … 경호 탄탄해

샌즈는 북한서 선호, 경호엔 취약

센토사엔 트럼프 좋아하는 골프장

싱가포르 대통령궁은 품격 갖춰

전수진 기자 싱가포르를 가다
판문점 도보다리, 다롄(大連) 해변가 산책에 이은 싱가포르의 결정적 한 장면은 뭘까.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27일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과 이달 7~8일 다롄 북·중 정상회담에서 ‘산책’을 테마로 그림을 연출했다. 다음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북·미 정상회담의 포인트는 어디가 될지 11~12일 미리 회담 후보지를 둘러봤다.

중앙일보

싱가포르에서 열릴 북·미 정상회담 후보지인 샹그릴라 호텔. [전수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회담 개최지로 유력한 장소는 싱가포르 중심부에 가까운 샹그릴라 호텔과 남부 해안가에 위치한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과 센토사 리조트다. 이 중에서도 샹그릴라 호텔이 1순위로 꼽힌다.

11일 오후 찾아간 샹그릴라 호텔은 차분한 분위기였다. 1971년에 개장한 호텔로 흰색 외관은 세련됐다기보다는 고풍스러운 인상이지만 내부는 화려했다. 무엇보다 눈에 띈 건 호텔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가면 수영장과 정원을 지나 나오는 오키드 산책로다. 잔디로 꾸며진 언덕을 가로지르는 오솔길을 약 150m 걸어가면 작은 오두막 형태의 공간도 마련돼 있고, 그 안에는 나무 테이블과 의자가 놓여 있다.

호텔 직원은 “연인들이 로맨틱한 저녁 식사를 즐기기 위해 많이들 예약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이 오솔길을 걸은 뒤 이곳에 앉아 휴식을 취하며 대화를 나누는 그림으로는 안성맞춤이다. 호텔 안으로 더 들어가면 더치 파빌리온이라는 식민지 시대부터 보존돼 온 건축물까지도 산책로가 마련돼 있다.

샹그릴라 호텔은 이런 ‘그림’뿐 아니라 경호 측면에 있어서도 적합하다. 이 호텔엔 매년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국방장관이 모여 안보 문제를 토론하는 아시아 안보 회의가 열린다.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가 주관하는 이 회의는 별칭인 ‘샹그릴라 회의’로 더 유명하다. 2015년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馬英九) 당시 대만 총통이 66년 만의 정상회담 장소로 이곳을 낙점하기도 했다.

사라 테오 난양공대 라자라트남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은 중앙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싱가포르에서 경호 노하우가 가장 많은 호텔을 꼽으라면 샹그릴라”라고 말했다. 북·미 회담 전후로 샹그릴라 호텔 예약이 이미 끝났다는 점도 샹그릴라 개최설에 무게를 더한다.

중앙일보

싱가포르에서 열릴 북·미 정상회담 후보지인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전수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샹그릴라 호텔과는 여러 의미로 대척점인 곳이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이다. 12일 오전 찾아간 이곳은 투숙객과 관광객들로 북적거렸다. 객실 수만 2500개에다 카지노 등 복합리조트까지 함께 있는 싱가포르의 대표적 랜드마크다. 경호 부분에서 취약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싱가포르로서는 자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곳을 적극 추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평가다.

트럼프 대통령의 친구이자 후원자로 ‘카지노의 황제’라 불리는 셸던 애덜슨 샌즈 그룹 회장도 호텔 건설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미국도 관심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기자와 함께 이곳을 찾은 싱가포르인 한 사진가는 “북한에도 이곳은 매력적일 수 있다”며 “북한 사람들도 싱가포르에 오면 마리나 베이 샌즈를 꼭 보고 싶어 한다. 경제 개발의 아이콘으로 삼을 수 있는 건물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싱가포르에서 열릴 북·미 정상회담 후보지인 센토사 리조트의 한 호텔 전경. [전수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물망에 오르는 센토사 리조트는 다른 두 곳에 비해 접근성이 다소 떨어졌다. 그만큼 경호 면에선 좋은 입지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안에는 놀이공원과 골프장, 약 8개의 리조트형 호텔이 들어서 차분한 분위기다.

위의 호텔 들 외에도 싱가포르 대통령궁인 ‘이스타나(Istana)’도 개최지로 가능하다고 외교소식통이 13일 전했다. 쇼핑몰과 백화점 등이 밀집한 오차드로드에 위치해 있지만 경비가 삼엄하고 규모도 웅장해 회담 장소로 제격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민간 호텔보다는 대통령궁이 회담 성격에 더 맞다는 분석도 있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