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어버이날 선물 고민 앞당겨져..어머니는 화장품, 아버지는 건강식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KT, 어버이날 선물 트렌드 빅데이터로 분석

선물 고민 시기 해마다 앞당겨져

여성이 남성보다 10% 더 선물괸 많아

아버지 ‘건강식품’, 어머니 ‘화장품’ 주로 선물

카네이션, ‘용돈박스’ 형태도 유행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온라인 버즈량을 토대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어버이날 선물을 준비하는 시기가 해마다 조금씩 앞당겨지고, 여성이 남성보다 더 이른 시점부터 선물에 대해 고민했다.

자사의 소셜 분석 서비스 플랫폼 ‘스마트 인사이트’를 통해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2016년 1월부터 2018년 4월 15일까지 인터넷 뉴스·블로그·게시판 등에서 발생한 5만7186건의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분석 결과 도출에는 ‘스마트 인사이트’의 독자적인 텍스트분석 엔진을 바탕으로 자연어처리 기반의 개체명 추출, 연관 키워드 분석, 감성어 분석 등 빅데이터 처리 기술이 쓰였다.

SK텔레콤의 분석에 따르면, 온라인 공중이 어버이날 선물을 언급하는 시기는 매년 앞당겨지고 있다.

온라인 버즈량을 바탕으로 도출된 곡선을 분석한 결과, 어버이날 관련 키워드 언급량은 2016년 5월 8일 당일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2017년에는 어버이날 7일 전에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올해는 어버이날 임시 공휴일 지정 등의 논의가 진행되면서 4월 초부터 어버이날에 대한 공중의 관심이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어버이날을 미리 준비하는 이유로는 다양한 커머스 플랫폼의 발전과 SNS 등을 통한 정보공유가 활발해진 점을 들 수 있다.

‘스마트 인사이트’를 담당하는 김정선 매니저는 “미리 어버이날 선물 후보군을 정해두고 지인 또는 커뮤니티 게시판에 의견을 묻는 경우가 늘었고, 여성이 남성보다 10% 정도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선물 금액이 먼저 충족돼야

선물을 선택한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격’ ‘할인’ ‘저렴’ ‘무료배송’ ‘특가’ 등의 금전적 요인 관련 키워드는 총 7401 건으로 집계되어 ’디자인‘색상’ ‘사이즈’ 등 심미적 요인을 중시한 키워드 6063건 보다 더 높았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께는 용돈·뷰티제품, 아버지 선물은 건강식품이 압도적

자녀들은 어머니 선물로 용돈,뷰티제품,건강식품을 고려하는 한편, 아버지의 선물로는 대다수가 건강식품을 선택하고 있다.

어버이날의 상징인 ‘카네이션’을 선물하는 방식도 매년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선물용 카네이션을 직접 만들었다는 내용의 버즈량이 꾸준히 줄고 있는 반면, 기성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는 반응은 증가하고 있다.

2016년에는 생화보다 보존성이 좋고 실용적인 ‘비누꽃’, ‘디퓨저’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지만, 2017년에는 ‘24K 금뱃지’, ‘자수’ 형태로 된 카네이션이 호응을 얻었다. 올해는 용돈을 드리겠다는 의견이 다수 포착되면서, 현금을 담아 선물할 수 있는 ‘용돈박스’ 형태도 주목 받고 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의 Data사업을 담당하는 장홍성 Data 유닛장은 “어버이날은 가정의 달 중에서도 전 연령대의 관심이 가장 높고 소비와 지출이 급증하는 시점”이라며 “온라인에서 오고 간 데이터를 의미 있게 분석해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로 정제했다”고 분석 배경을 밝혔다.

‘스마트 인사이트’는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 온라인 여론을 비교/분석하여 ▲고객이 많이 읽은 온라인 기사의 확산도 ▲상품의 대표키워드 ▲여론의 긍정/부정 척도 ▲상품 호감도 ▲온라인 여론 주도자의 반응 ▲경쟁사와의 상품 경쟁력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입체적인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도출해낼 수 있어, 설문조사와 그룹 인터뷰 등을 통한 고객 트렌드 분석기법 대비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