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D-2] 금강산 배경·2018mm 타원형 테이블·푸른 카펫…회담장 새단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평화, 새로운 시작' 슬로건 회담장에 구체화

회담장 정문 입구 통해 양 정상 동시 입장으로 바꿔

뉴스1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판문점 공동취재단,박승주 기자 = 4·27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판문점 평화의집 2층 정상회담장이 새 단장을 마쳤다.

25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마주앉게 될 회담장 구성에는 이번 정상회담 슬로건인 '평화, 새로운 시작'을 구체적으로 구현했다.

회담장에 입장하는 방식부터 변화가 생겼다. 기존에는 남측은 왼쪽, 북측은 오른쪽 출입구를 통해 각각 입장했지만, 이번에는 회담장 정문 입구를 통해 양 정상이 동시에 입장할 예정이다.

두 정상이 마주 앉을 테이블도 모양이 '사각형'에서 '타원형'으로 바뀌었다. 궁궐의 교각 난간 모습을 모티브로 해 두 개의 다리가 하나로 합쳐지는 모습으로 제작했다.

딱딱한 사각형이 아닌 둥근형 상판으로 제작한 것과 관련 청와대는 "휴전선이라는 물리적인 경계와 분단 70년이라는 심리적인 거리감을 줄이고, 둘러앉아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테이블 폭은 1953년 휴전과 정상회담이 열리는 2018년을 상징하도록 했다. 정상들이 앉는 테이블 중앙 지점 폭, 즉 두 정상간 거리는 이번 회담을 상징하는 2018㎜이다.

청와대는 "한반도 평화 정착 실현을 위한 역사적인 2018년 남북정상회담을 상징하는 역사적 기념물로 보존할 만한 가치를 지니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뉴스1

남북정상회담장 모습. (청와대 제공)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상용 의자 또한 별도로 제작됐으며 등받이 최상부에 제주도, 울릉도, 독도까지 표시된 한반도 지도 문양을 새겼다.

흰색 정상용 의자 2개, 참석자들이 앉을 노란색 의자 12개 등 총 14개의 의자가 마련됐다. 회담장 의자 수는 당일 실제 회담 참석자 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전시용 작품은 신장식 작가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이 선정됐다. 2008년 이후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긴 했지만, 여전히 남북의 화해와 협력이라는 상징을 띤 금강산을 회담장 안으로 들여 이번 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소망하는 의미를 담았다.

실내 장식은 한옥의 대청마루를 모티브로 해 전체적으로 한옥 내부 느낌이 나도록 만들었다.

특히 양쪽 벽면에 못이나 접착제 사용 없이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전통창호를 설치했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 앞으로 견고한 남북의 신뢰관계가 전통창호처럼 오래도록 이어지길 희망하는 의미라고 한다.

회담장 카펫은 푸른색이다. 한반도 산천의 기상을 회담장 안으로 들여 회담으로 한반도 평화가 새롭게 시작되길 바란다는 뜻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parksj@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