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유튜브, 北 붉은별TV 등 극단주의 채널에 300개 기업 광고 게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마존·페이스북·넷플릭스 등 포함…"광고로 채널에 자금 대는 꼴"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세계 최대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가 북한과 백인 국수주의, 나치 등을 선전하는 극단주의 채널에 300여 개 기업·기관의 광고를 게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뉴스

[AP=연합뉴스]



미국 CNN머니는 자체 취재를 통해 거대 IT기업과 유통업체, 신문, 정부기관의 유튜브 광고가 북한 선전 채널인 '붉은 별 TV'와 나치를 홍보하는 '루에'(Ruhe) 등에 게재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 기업에는 아디다스와 아마존, 시스코, 페이스북, 허쉬, 힐턴, 링크트인, 넷플릭스, 노드스트롬, 언더 아머 등이 포함됐다.

아울러 교통부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미국 정부기관들의 광고도 이러한 극단주의 채널에서 방영된 것으로 나타나 논란은 커질 전망이다.

CNN머니는 유튜브가 여과장치 없이 광고를 게재하면서 기업들이 부적절한 채널에 자금을 대는 결과를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또 여기에 정부 광고도 포함되면서 미국인들이 낸 세금이 악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매체는 북한 선전 채널인 붉은 별 TV에서 이들 기업의 광고가 올라있는 것을 목격했다고 강조했다.

북한 조선중앙TV 뉴스 동영상을 공개하는 붉은 별 TV는 "북한 연대단체의 정보 프로젝트로, 북한과 관련한 믿을만한 정보를 옮기고, 유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스스로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튜브 캡처]



붉은 별 TV 대표도 방송이 북한 정부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은 단체로, 정권의 정보 지원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유튜브는 북한에 대한 미국 제재를 위반할 수 있다는 이유로 북한 선전 채널 '우리민족끼리'(uriminzokkiri)와 '조선중앙TV' 등의 채널을 차단한 바 있다.

극단주의 채널에 광고가 게재된 기업들은 이런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며 황당해 하는 표정이라고 CNN머니는 전했다.

이들은 자체 조사를 통해 곧 광고를 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업 중 하나인 언더아머 측은 유튜브와 함께 어떻게 광고가 이런 채널에 게재됐는지를 조사하고 있다며 "이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고, 이를 즉시 수정하려고 하고 있다"고 전했다.

viv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