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신개념 화학촉매로 미세먼지 배출 확 줄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화학연 허일정 박사팀 개발 착수

노후 경유차·선박에 적용 가능


최악의 미세먼지가 연일 기승을 부리면서 미세먼지를 배출원으로부터 원천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근본적 대책 수립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국내연구진이 화학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기술을 개발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그 주인공은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자원화연구소 허일정 박사 연구팀. 허 박사 연구팀은 노후경유차와 선박에서 주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을 화학촉매를 활용, 오염물질이 없는 질소와 수증기만 배출하는 원천기술 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연구팀에 따르면 미세먼지는 발전소, 자동차, 선박 등에서 고체상태로 직접 배출되는 1차 미세먼지와 가스 상태로 배출돼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산되는 2차 미세먼지로 구분된다.

허일정 박사는 “국내 전체 미세먼지 발생량 중 약 72%가 2차 미세먼지”라며 “2차 미세먼지 중 암모니아,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이 주로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허 박사에 따르면 자동차 및 선박의 연소 과정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은 촉매와 요소수(암모니아 희석용액)를 활용해 질소와 물로 환원하는 SCR(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의 경우 요소수를 저장하는 탱크와 노즐 분사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야하는데 고가의 가격과 부피가 커진다는 점, 주기적으로 요소수를 보충해야 한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연구팀은 국제적인 배기가스 배출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 맞춰 노후 경유차와 선박에 적용할 수 있는 기존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신개념 촉매 개발에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 촉매기술은 기존 SCR시스템과 달리 요소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저장탱크와 노즐이 필요치 않다.

구본혁 기자/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