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유령주식 파문´으로 본 삼성증권 ‘이건희 사금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6일 오전 삼성증권 주가가 11% 넘게 폭락합니다. 우리사주조합에 ‘현금 1000원’을 배당해야했는데 ‘주식 1000주’를 잘못 배당하면서, 잘못 배당된 주식 중 501만주를 일부 직원이 곧바로 내다 팔았기 때문입니다. 회사의 어이없는 실수, 그 틈을 탄 직원들의 사익 챙기기가 맞물리면서 ‘역대급’ 금융 게이트가 시작됐습니다. 100조원이 넘는 주식배당 사고를 낸 삼성증권은 곧장 사과문을 내겁니다.

관련기사▶삼성증권 주가 한때 11% 폭락 왜?

관련기사▶ 삼성증권 ´실수´에 직원들은 ´팔자~´ 회사도 직원도 망신살

알고보니 담당 직원의 ‘실수’는 이미 사건 발생 전날 이뤄진 일이었습니다. 배당 오류를 파악한 뒤 임직원 거래를 차단하는 데까지도 37분이 걸렸습니다. 회사의 ‘매도 금지’ 공지에도 주식을 팔아치운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약 30분 만에, 삼성증권 주식의 하루 평균 거래량 10배가 넘는 매도 물량이 나왔습니다. 잘못 들어온 주식을 판 직원은 총 16명이었습니다.

금융감독원 조사 결과 배당 입력 시스템 문제는 삼성증권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삼성증권은 손실액 전액을 주식을 판 직원들에게 청구하기로 했습니다.

관련기사▶ [삼성증권 파문]삼성증권 ‘배당 오류’ 하루 동안 몰랐다

관련기사▶ ‘유령 주식’ 파문, 삼성증권 ‘똑같은 수법’으로 공매도 했나

‘유령 주식’ 배당사태로 신뢰에 금이 간 삼성증권의 앞날에는 먹구름이 드리워졌습니다. 삼성증권은 지난해 11월 미래에셋대우·KB증권 등과 함께 ‘초대형 IB’로 지정됐지만 발행어음사업을 할 수 있는 단기금융업 인가는 받지 못했습니다.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지난 8일 기준으로 삼성증권의 총 발행주식수는 8930만주, 발행한도는 1억2000만주인데, 28억주가 생긴 ‘유령 주식’이 클릭 몇 번으로 생긴 걸 두고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습니다. 전산상 오류를 거르는 시스템도 없었고, 증권사가 마음만 먹으면 존재하지도 않는 주식을 언제든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삼성증권이 무슨 조폐공사냐”는 여론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으로 달려갔습니다. 국민청원에는 삼성증권 처벌과 공매도 금지를 요구하는 개별청원이 100여건 이상 올라왔고 지난 6일 청원된 ‘삼성증권 시스템 규제와 공매도 금지’에는 10일 오후 2시 기준 2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관련기사▶ [정리뉴스]삼성증권 사태에 뿔난 시민들 “공매도 금지” 청원 왜?

관련기사▶ [삼성증권 파문]신뢰 깨진 삼성, 금융제재 땐 ‘초대형 투자은행’ 활동 제약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도 여야를 막론하고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삼성증권 사태는 자본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린 금융 참사”라는 데 의견이 모입니다.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은 10일 삼성증권 배당 입력 사고를 ‘희대의 사건’으로 규정하면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회사 차원의 시스템적인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관련기사▶ [삼성증권 파문]정치권 “금융 참사…책임자 처벌해야” 한목소리

관련기사▶김기식 금감원장, “국민 눈높이에 지적 소지, 로비성 외유는 아냐”

국민연금·사학연금·공무원연금 등 연기금들은 오늘 삼성증권과 일제히 거래를 중단했습니다. 군인공제회도 삼성증권 거래 중단 여부를 논의합니다.

관련기사▶ 사학연금, 삼성증권과 거래중단

삼성증권 사태는 어떻게 결론 날까요. 금감원은 내일부터 본격적인 현장검사에 착수해 19일까지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사안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중징계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유령 주식’ 사태가 터진 후 삼성증권이 “이건희 차명재산 관리를 위한 ‘사금고’로 기능했다”는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의 발언이 재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차명 증권계좌 중 1133개 중 918개는 삼성증권에 개설된 계좌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로 함께 보시죠.

관련기사▶ 이건희 차명계좌 대부분 삼성증권서 개설···왜?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형국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