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靑, 김기식 논란 관련 “출장 모두 공적인 목적…적법 결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으로 출근하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김 원장은 전 정무위 소속 국회의원 당시 피감기관 예산으로 해외출장을 다녀 온 것 때문에 논란이 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등 야 3당이 국회의원 시절 피감기관의 돈으로 수차례 외유성 출장을 갔다는 의혹에 휩싸인 김기식 신임 금융감독원장의 임명 철회를 공개적으로 촉구한 가운데, 청와대가 “의혹이 제기된 해외 출장 건들은 모두 공적인 목적으로 이뤄진 것이며 적법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9일 “조국 민정수석은 임종석 비서실장의 지시에 따라서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김 원장을 둘러싼 일부 언론의 의혹 제기에 대해 그 내용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출장 건들은 모두 관련 기관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의원 외교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거나, 관련 기관의 예산이 적정하게 쓰였는지 현장 조사를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은 겸허하게 받아들이나 그렇다고 해임에 이를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당시 출장에 동행한 인물은 비서가 아닌 인턴 신분이었다”며 “해당 인턴이 외유 출장 뒤 8개월 만에 7급 비서관으로 초고속 승진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김 원내대표는 “담당 보좌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중요한 해외출장을 인턴 여직원이 소화할 수 있었는지 큰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김 원장은 ‘해외 출장 건 관련 추가 설명자료’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원을 받아 미국·유럽 출장에 동행했던 사람이 정책 비서가 아니라 20대의 여성 인턴이었다는 지적에 대해, 인턴이 맞지만 단순 행정 보조가 아니라 정책업무 보좌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 인턴이 출장 동행 이후 9급과 7급으로 고속승진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결원이 생길 때마다 주로 내부 승진을 시키다 보니 다른 인턴도 정식비서로 승진했고 기존 비서는 결원이 생길 때마다 9급에서 7급, 7급에서 6급으로 승진했다”고 해명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