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국민투표법 입장차…민주 "개정 시급"vs 한국 "靑, 개헌 물타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야는 청와대가 개헌 논의와 관련해 국민투표법 개정을 조속히 처리해달라고 요청한 데 엇갈린 반응을 보였습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청와대의 요청에 동조했지만,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보수야당은 국회 내 개헌 논의가 우선이라며 청와대를 강력 비판했고, 민주평화당은 법 개정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개헌 합의를 위한 여권의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민주당 제윤경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개헌의 진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국회의 국민투표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청와대의 입장에 적극 동의한다"며 "한국당은 즉각 국회를 정상화하고 최우선으로 국민투표법 개정을 위한 상임위 진행 절차에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제 원내대변인은 "국민투표법 개정은 국민개헌을 위한 선행과제"라며 "6월 개헌 국민투표를 위해서는 오는 27일이 국민투표법 개정의 마지노선"이라고 시한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관제 개헌안을 쪼개기 발표한 정치 쇼로도 모자라 이제는 국민투표법으로 청와대발 개헌 물타기를 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전 대변인은 "국회에서 '국민 개헌' 논의가 진행 중인 만큼 국민투표법 개정은 순리대로 그 논의와 맞물려 살펴볼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바른미래당 권성주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국회 헌정특위에서 국민투표법도 개헌안과 함께 다룰 것이고, 청와대가 굳이 국회에 요청하겠다면 여당이나 정무수석을 통해 협상하면 될 일"이라며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의 긴급 브리핑을 가리켜 "생뚱맞다"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평화당 최경환 대변인은 논평에서 "청와대가 국민투표법 개정을 압박하는 것은 사실상 대통령 개헌안을 밀어붙이겠다는 것으로 보인다"며 "법안이 조속히 통과되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일방적 압박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라고 꼬집었습니다.

최 대변인은 "국회가 위헌 상태로 국민투표법을 수년째 방치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면서도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 발의 개헌안만 안고 있지 말고 자체 개헌안을 제시해 5개 정당간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반면 평화당과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한 정의당은 "국회가 개헌 논의를 진행하면서 위헌 상태의 법을 방치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청와대의 국민투표법 개정 촉구를 뒷받침하고 나서 차이를 보였습니다.

추혜선 수석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국회가 개헌안의 내용을 합의하는 것만큼이나 이를 위한 절차인 국민투표법을 개정하는 논의도 조속히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권란 기자 jiin@sbs.co.kr]

☞ [끝까지 판다] 삼성 경영권 승계와 에버랜드 땅값
☞ [#Me Too 우리가 불편한 이야기] 바로 참여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