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정부 개헌안 국무회의 의결…대통령 재가 거쳐 오후 발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SBS뉴스로 오시면 '[SBS 슬라이드 형태]'로 보실 수 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2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김상곤 사회부총리와 대화하며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병도 청와대 정무수석(왼쪽부터),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세종-서울 간 영상국무회의에서 참석자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왼쪽)과 한병도 정무수석(오른쪽)이 2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자료를 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모친상에도 불구하고 2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세종-서울 간 영상국무회의에서 참석자들이 이낙연 총리 발언을 듣고 있다.

☞ SBS뉴스로 오시면 '[SBS 슬라이드 형태]'로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발의할 정부 개헌안이 26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

의결된 정부 개헌안이 문 대통령의 결재를 거쳐 국회로 송부되고 관보에 게재되면 발의 절차가 마무리됩니다.

대통령의 개헌안 발의는 1980년 전두환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하에 간선제 5공화국 헌법 개정안을 발의한 이후 38년 만입니다.

정부 개헌안 의결은 청와대가 지난 20∼22일 사흘에 걸친 대국민 설명에 이어 22일 전문을 공개한 지 나흘 만에 이뤄졌습니다.

정부 개헌안은 국회의 60일 이내 심의 절차를 거치고 공고가 이뤄지면 6월 13일 지방선거와 동시에 국민투표가 실시됩니다.

하지만 개헌 저지선을 확보한 자유한국당의 강력한 반대로 인해 현재로써는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라는 국민투표의 전제 조건을 충족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합니다.

정부는 이날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전문(前文)과 11개장 137조 및 부칙으로 구성된 대통령 개헌안을 의결했습니다.

아랍에미리트(UAE)를 순방 중인 문 대통령은 의결된 정부 개헌안을 보고받은 뒤 오후 전자결재를 통해 국회 송부와 함께 개헌안의 공고를 승인할 예정입니다.

정부 개헌안이 관보에 게재되면 법적인 의미의 개헌안 공고가 시작되고 발의 절차도 완료됩니다.

국회는 개헌안을 송부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의결해야 한다는 개헌 절차에 따라 오는 5월 24일까지 국민투표 상정 여부를 결론 내야 합니다.

청와대는 6월 지방선거와 동시 개헌투표를 성사시키려 불가피하게 대통령이 개헌안을 발의하는 강수를 뒀지만, 여야가 지방선거 동시 국민투표를 전제로 국회 개헌안을 5월 초까지 합의한다면 정부 개헌안을 철회할 수도 있다는 입장입니다.

이를 위해 문 대통령은 4월 임시국회 회기에 국회연설을 포함해 여야 지도부 회동, 국회의장 및 헌법개정특위 면담 등 대(對)국회 설득작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대통령 4년 1차 연임제를 핵심으로 하는 정부 개헌안은 대통령의 특별사면권 통제, 감사원의 독립기구화, 헌법재판소장 임명권 삭제 등 대통령 권한을 상당 부분 분산·축소했습니다. 반면 국무총리의 책임성과 자율성을 강화했습니다.

또 감사위원 중 3명을 국회에서 선출하는 한편 국회의원 10명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만 정부가 법률안을 국회에 제출할 수 있고 예산법률주의를 도입하는 등 국회의 권한을 대폭 확대했습니다.

이와 함께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 선거연령 18세 하향, 수도 조항 삽입, 토지공개념 조항 명확화, 검찰의 영장청구권 조항 삭제, 지방분권 국가 지향 문구 등도 추가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조민성 기자 mscho@sbs.co.kr]

☞ [끝까지 판다] 삼성 경영권 승계와 에버랜드 땅값
☞ [#Me Too 우리가 불편한 이야기] 바로 참여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