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군위냐 대구냐… 김수환 추기경 생가 논란 재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용대리집에 ‘생가’ 팻말 세워
제적등본에 ‘옛집’ 대신 ‘생가’로
태생지 대구 “사실 왜곡” 반발


경북 군위에 조성된 ‘김수환 추기경 사랑과 나눔공원’(왼쪽·이하 김수환 공원) 개장을 앞두고 진짜 추기경 생가가 어디인지를 놓고 논란이 재현되고 있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1일 군위군에 따르면 오는 27일 군위읍 용대리 일대 3만여㎡ 터에 120억여원을 들여 조성한 김수환 공원 개장식을 갖는다.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추기경을 비롯해 전국 각 교구장·신부 등 국내 가톨릭 지도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군위군은 특히 이날 행사의 하나로 김 추기경이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살았던 용대리 집(오른쪽) 입구에 ‘김수환 추기경 생가’ 팻말을 세울 계획이다. 이 집은 그동안 추기경이 4살 무렵 가족과 함께 대구에서 군위로 이사 와 8년간 살았다고 해서 ‘옛집’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 군위군은 추기경 일가의 제적등본(가족관계증명서)을 입수해 확인한 결과 옛집이 아닌 생가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1922년 5월 8일 대구 남산동 외가에서 태어난 추기경의 일가가 그보다 20일 전쯤인 4월 18일 이미 군위읍 용대동 238로 이사 왔다고 제적등본에 기재돼 있다는 것이다.

임병태 군위군 문화관광과장은 “추기경 일가가 군위로 이사를 온 뒤 어머니가 당시 친정에서 출산을 하던 풍습에 따라 잠시 대구 친정으로 옮겨 가 추기경을 낳다 보니 생가가 대구로 잘못 알려진 것 같다”면서 “어머니가 출산 이후 군위 집으로 다시 돌아와 산 만큼 군위 집을 추기경의 생가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구 일각에서는 김 추기경이 태어난 곳은 엄연히 대구인 만큼 군위가 생가라는 논리는 억지라고 주장한다. 익명을 요구한 대구 지역 향토사학자 A씨는 “군위군이 훌륭한 삶을 살다 간 종교인의 옛집을 뒤늦게 생가니 고향이니 하며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구시는 지금까지 김 추기경이 태어난 곳이 남산동이라고만 알고 있을 뿐 정확한 장소는 물론 대략적인 위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군위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