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남북대화 훈풍이 없는 곳 ‘JSA’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지난 13일 북한군 병사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통해 귀순했던 사건이 일어난 가운데 27일 오전 판문점 사건 현장 인근에서 북한군 병사들이 남측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2017년 11월 27일/파주=사진공동취재단/서울경제신문/송은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6ㆍ25전쟁을 멈춘지 63년이 지났지만 총성 없는 전쟁이 이어지는 곳이 있다. 바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이다.

판문점에 들어서면 건물 5채가 있다.판문점을 상징하는 이들 막사들은 군사정전위원회 회담 장소로 이용되던 하늘색의 중앙부 3채(T1∼T3)와 좌우 양 끝의 은색 건물로 구분된다. 하늘색 건물은 우리 측이, 은색 건물은 북한이 관리를 맡고 있다.

현재 정중앙의 T2 회담장은 남북한이 공동으로 견학 장소로 이용하고 있으며 상징적 의미가 강한 장성급 회담 장소로 사용됐지만 북의 계속되는 도발로 2009년 3월 이후 만남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 오른쪽의 T3 회담장은 JDO라 불리는 공동일직장교 주관으로 영관급ㆍ위관급 회담이 열리던 곳이다. T1 회담장은 우리 측 스위스ㆍ스웨덴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주간회의 장소와 남북적십자 사무소로 이용되며 사안에 따라 양측 접촉이 이뤄지는 곳이다. T2 회담장안에 들어서면 공식적으로 북한 땅을 밟을 수 있다. 남북에 걸쳐 놓여 있었지만 회담장 안에선 군사분계선이 효력을 상실한다. 눈에 띄었점도 있다. 분단선은 중앙에 가로로 놓은 회담 테이블의 양 끝에 놓인 유엔(UN)기와 마이크 선으로 이어놨다. T2 회담장은 우리에게 공개되고 있듯 북한에서도 인기 있는 관광명소다. 하지만 양측 방문객이 한공간에 머무는 경우는 없다.

JSA에는 1976년까지 군사분계선(MDL)표식도 없는 곳이었다. 북측, 유엔사측 초소가 남쪽 또는 북쪽을 가리지 않고 설치되어 있었다. 양측 경비병들은 JSA를 자유롭게 통행했다. 그러나 1976년 8월 18일 도끼만행사건 이후 북측, 유엔사측 초소가 남북으로 엄격히 갈라졌고 폭 50㎝, 높이 5㎝의 시멘트 구조물로 표시된 MDL을 경계로 분할 경비를 서게 됐다.

1998년 말에는 JSA 경비병들이 북한군과 수시로 접촉하며 각종 선물을 건네받은 사실이 발각되기도 했다. 그해 2월 JSA를 통해 귀순한 북한군 변용관 상위(당시 계급)의 진술 등을 통해 접촉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이듬해 당시 천용택 국방장관이 국방위에 출석해 이 사건과 관련해 "JSA 경비대대 소속 한국군 병사 25명이 호기심으로 북한군과 접촉해 대화를 나누고 물품을 수수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당시 물품을 받은 사병은 16명에 달했다. 김일성 배지, 술과 담배, 인삼, 달력, 편지엽서, 시계, 금반지 등이 물품 목록이었다. 그야말로 영화 같은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그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가 바로 '공동경비구역 JSA(Joint Security Area)'이다.

북한군이 JSA내 MDL을 넘은 것은 손에 꼽을 수 없을 정도다. 2001년 가을에는 북한군 하사 1명이 알밤을 줍다가 MDL을 넘었다. JSA MDL 남측 평화의 집에서 서북쪽으로 150m가량 위치에 있는 밤나무는 MDL 선상에서 자라 가지가 남북 양측으로 뻗어있으나 하필 남측 가지에 밤알이 굵고 비교적 많이 열린다고 한다. 당시 북한군 하사는 남측 지역에 떨어진 밤을 줍기 위해 3∼5초간 MDL을 1∼2m가량 넘었는데 이 장면이 유엔사 측에서 설치해 놓은 카메라에 포착됐다.

1989년에는 '조선군사정전위 중국인민지원군' 소속 중국군 소령이 부인과 JSA를 통해 망명했다. 중국군이 판문점을 거쳐 탈출한 첫 사례가 됐다. 이에 앞서 1984년 1월에는 평양주재 소련대사관 수습보조원 바실리 마투조크씨, 1981년 10월에는 중립국 감시위원회 소속 체코인 로버트 오자크 일병이 JSA내 MDL을 넘어왔다. 이들은 탈출 후 미국으로부터 정치적 망명이 허용돼 도미했다.

또 1984년 11월에는 옛 소련인 관광안내원 바실리 야코볼리비치 씨가 JSA를 통해 탈출했다. 북한군은 이를 저지하고자 JSA내 MDL을 넘어와 총격전을 벌였다. 한국군 1명이 전사하고 미군 1명이 부상했으며 북한 경비병도 3명이 죽고 1명이 부상했다. 이 사건은 북한군이 JSA내 MDL을 넘어와 총격을 가한 첫 사례로 기록됐다.

1959년 1월에는 옛 소련의 당기관지 프라우다의 평양특파원 이동준 씨가 군정위 본회의 취재를 나왔다가 유엔측 사무실로 넘어와 귀순했다. 1967년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 부사장이었던 이수근도 위장 귀순했다. 판문점 역사상 가장 극적인 사건 중 하나는 1998년 6월 당시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소 떼 1000여 마리를 트럭 50여 대에 싣고 북한으로 향한 일이다. 이는 비무장지대의 긴장된 역사를 화해와 협력으로 반전시킨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되면서 한민족은 물론 세계인들의 시선을 끌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