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 진행 탓
금호타이어 매각을 둘러싸고 산업은행 등 채권단과 금호타이어 노조 간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노조는 ‘중국 더블스타로 매각되느니 법정관리로 가는 게 낫다’며 오는 15일 총파업까지 예고했다. 채권단도 ‘매각이 안 되면 법정관리 외에 대안이 없다’며 강경한 입장이다. 관련 업계와 금융권 등으로부터 금호타이어 매각가와 더블스타의 계속경영 여부 등 의문들을 되짚어 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바닥’ 친 실적도 가격 하락 원인
6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채권단은 더블스타에 금호타이어 지분 45%를 넘기는 대가로 6463억원을 받기로 했다. 당초 지난해 3월 체결한 지분 42.01% 매각 금액인 9550억원보다 약 3000억원이나 적은 금액이다. 지난해 추진한 방식은 채권단의 지분을 넘기고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는 방식이었다.
이에 따라 주당 가격은 지난해 3월 8일 가격인 8090원에서 78% 할증된 1만 4389원이 적용됐다. 반면 이번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진행된다. 주당 가격은 5000원이 적용된다. 그동안 주가가 크게 떨어진 데다 제3자 유상증자는 10%의 주가 할인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대신 신주 발행에 따른 희석으로 채권단의 지분율은 25%로 떨어진다.
금호타이어 실적이 ‘바닥’이라는 점도 가격 하락의 원인이다. 2013년 3조 6985억원이던 매출은 지난해 2조 8773억원으로 4분의1 가까이 빠졌다. 지난해 더블스타가 금호타이어를 가져갔다면 채권단 지불 금액 외에 회사 정상화를 위해 추가 지출을 해야 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지난해보다 3000억원을 덜 쓰고 경영권을 가져가면서도 투자금을 회사 자금으로 쓸 수 있다. 최근 1년간 금호타이어 매각 차질로 더블스타만 수천억원의 이득을 본 셈이다.
더블스타 외에도 한때 SK 등 국내 기업의 금호타이어 인수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SK는 채권단에 전체 1조 8000억원의 대출금 중 1조원 정도를 추가로 출자 전환하고, 채권단 지분을 감자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 관계자는 “추가 출자 전환은 채권단에 부실을 더 떠안으라는 뜻”이라면서 “SK가 인수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결론 내렸다”고 잘라 말했다.
금호타이어의 ‘고비용 구조’는 금호타이어의 매력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손꼽힌다. 2016년 1인당 평균 인건비는 금호타이어가 6900만원으로 한국타이어(6800만원)나 넥센타이어(6100만원)보다 높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타이어는 1962년 노조 설립 이후 단 한 번의 파업도 없었지만 금호타이어는 ‘강성 노조’ 이미지가 강하다는 점도 마이너스 요인”이라고 말했다.
●더블스타 계속경영 여부는 ‘글쎄’
채권단은 더블스타가 최대주주 유지 기간인 5년 뒤에도 금호타이어 영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대현 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은 “타이어 산업은 신규 진입은 물론 단기간 성장도 쉽지 않다”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면 더블스타가 떠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는 이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도 상당하다. 타이어 업종의 한 애널리스트는 “더블스타가 향후 5년간 금호타이어의 기술력과 유통망 등을 공유하면 금방 성장할 가능성이 높지만 금호타이어 자체를 키울 이유는 별로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