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데드라인 넘긴 금호타이어…정상화ㆍ법정관리 ‘기로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노사 합의안돼 ‘자구안 시한’ 26일 넘겨

- 27일에도 결렬땐 법정관리 수순 밟을 수도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금호타이어의 생사를 건 노사간 협상이 ‘데드라인’을 넘기면서 진통을 겪고 있다.

금호타이어에 따르면 당초 채권단과 사측은 26일 예정돼 있던 이사회에서 ‘경영정상화 계획 이행을 위한 약정서(MOU)’를 체결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정상화를 위해 반드시 노사간 합의가 이뤄져야 했으나 오전과 오후 두차례 노사간 협상을 진행했으나 최종 타결에 이르지 못해 이사회가 27일로 연기됐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노사간 경영정상화 방안을 두고 해외 매각과 관련 합의점을 찾는데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헤럴드경제

노조는 국외매각 방침과 관련한 채권단의 공식적인 입장 표명 없이는 협상에 나서지 않겠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6일 산업은행은 보도자료를 통해 “약정서 기한인 26일까지 금호타이어 노조에 경영 정상화 방안에 대한 동의서를 우선 제출해달라고 요구했다”면서 “향후 해외 투자 유치가 불가피하게 되면 노조와 별도로 협의를 진행할 것이다”고 밝혔다.

금호타이어 노조에 경영 정상화 방안에 대한 동의를 압박하는 동시에 해외 매각에 대한 노조의 반발을 달래기 위한 절충안을 최후 통첩한 셈이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27일에도 협상이 계속할 전망이다.

만일 27일에도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이사회가 열릴 경우 차입금 만기 연장은 무효화될 수도 있다.

안그래도 금호타이어는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에 1조3000억원에 달하는 빚을 갚을 능력도 없다. 결국 최악의 카드라는 법정관리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또한 노조 동의없이 희망퇴직ㆍ임금삭감 등 고강도 구조조정도 진행될 것으로 보여 또다시 노사간 진통이 예상된다.

반면 27일 노사간 극적으로 타결을 본다면 차입금 상환은 1년 연장되고 그 기간 회사는 경영정상화 절차에 돌입한다.

앞서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유동성 위기에 처한 금호타이어의 채권 만기를 1년 연장해주는 경영정상화 약정서 체결 전제조건으로 ▷경쟁력 향상 방안(생산성 향상ㆍ무급 휴무ㆍ근무형태 변경 등) ▷경영개선 절차 기간 임금동결 ▷임금체계 개선(통상임금 해소) 및 조정(삭감) ▷임금 피크제 시행 ▷복리후생 항목 조정(폐지ㆍ중단ㆍ유지)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 개선 등을 담은 자구안에 대한 노사 합의를 요구했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회사와 직원, 협력업체 등 모든 구성웡들의 미래를 위해 진정성있고 책임감있는 자세로 협상에 다시 임해주길 바란다”며 “늦었지만 노사 합의를 통해 노사가 함께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경영정상화를 달성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attom@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