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지난해 830억원의 수입을 올리며 200억원이 넘는 수익을 낸 것으로 확인됐다. 전경련은 지난해 초 이른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4대 그룹이 회원사에서 전부 탈퇴한 이후 재계 안팎에 재정난을 호소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결산 등을 따져보니 실상은 이와 정반대로 나타난 것이다. 재계 일각에선 전경련이 정경유착 등 부정적인 이미지를 희석하기 위해 그동안 재정난 등을 강조해온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18일 전경련 회원사 등에 따르면 전경련은 지난해 총 831억5200만원(2017년도 결산안 기준, 일반·특별회계 합산)에 달하는 수입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서 전경련의 지출 총액(630억5000만원)을 제외한 금액은 201억200만원으로 흑자를 낸 셈이다.
전경련 예산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회원사들이 납부하는 회비수입이 포함된 '일반회계'와 여의도 한복판에 있는 전경련회관에서 나오는 임대료 수입이 들어간 '특별회계'다.
전경련의 지난해 임대료 수입의 경우 354억1800만원으로, 일반·특별회계를 통틀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다. 임대료 수입이 큰 만큼 특별회계에서 관리비 수입도 198억390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회비수입이다. 지난해 2월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LG전자 등 4대 그룹이 한꺼번에 전경련을 떠났지만, 회비수입이 113억2900만원이나 됐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전경련의 연간 회비 중 4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80% 수준으로 알려져있다"며 "이들이 탈퇴했는데도 회비로 100억원이 넘는 수입을 올린 것은 다소 의외"라고 말했다.
전경련은 지난해 정경유착의 고리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는 등 해체 위기에 내몰리자 14년 만에 희망퇴직을 받는 등 대규모 구조조정에 돌입한 바 있다. 당시 직원 215명(2016년 12월 기준) 중 70명이 넘는 인원이 퇴사를 선택하고, 남아있는 사람의 경우 임금은 30% 삭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럼에도 지난해 전경련의 인건비는 100억원(94억6700만원)에 육박했다. 퇴사하는 직원들에 대한 퇴직금 지급으로 인해 인건비가 높게 책정됐을 수도 있다. 전경련은 지난해 하반기 삭감된 급여를 되돌리려다 여론 등을 의식해 백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아직 해체론 불씨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전경련 입장에서는 수백억 원의 수입을 올렸다는 사실 자체가 부담스러울 수 있을 것"이라면서 "전경련회관의 3분 1을 차지한 LG CNS가 빠져나간 만큼 올해는 작년보다 힘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전경련은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전경련 관계자는 "수입의 대부분은 임대료일 것"이라면서 "전경련회관을 세울 때 각종 빚이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답변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혁 기자 utopia@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