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전문가가 본 野 정계개편 풍향]지역주의 타파 영호남 통합당이냐? 호남 기반 신당이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간 합당으로 생길 ‘통합개혁신당’과 국민의당 통합반대파 의원들이 만들 ‘민주평화당’이 지방선거를 앞둔 정국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끼칠지 주목을 끌고 있다.

통합신당은 영호남 화합을 기반으로 외연확대를 통해 지지기반을 넓히겠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다만, 역으로 기존 지지층을 잃을 수 있다는 불안요소도 갖고 있다. 민주평화당은 호남권에서의 견고한 지지기반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강점이자 약점으로 꼽힌다.

■국민-바른 통합시너지 효과는
통합신당의 성공 여부는 양당이 통합시너지를 어디까지 끌어올릴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특히 양당은 통합과정에서 컨벤션효과(주요 정치행사 후 지지율 상승)를 극대화시키겠다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안철수, 유승민 두 대표가 전면에 나서 행사에 참여하면서 분위기를 띄우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24일 열린 바른정당 창당 1주년 기념식에서 안 대표는 직접 화환과 축전을 보냈다. 안 대표는 "바른정당은 개혁정신으로 새로운 개혁 보수의 길을 열었다"며 "중도 개혁 세력과 힘을 모아 한국 정치의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만들어 가자"고 전했다.

한편, 국민의당 싱크탱크인 국민정책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통합신당 지지율은 16.4%로 자유한국당을 넘어 2위를 기록했다.

정치권 전문가들은 통합신당이 향후 보여줄 시너지효과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

이현출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통합신당이 진영논리에 빠진 기존 기득권 정당에 대한 불신을 가진 세력으로부터 새로운 지지층을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김용철 부산대 정치학과 교수는 “한국 정치사에서 중도정당이 성공한 사례가 없기에 낙관적인 평가만 할 수 없다”며 “차별화된 정책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스쳐가는 일회성 정당에 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평화당' 호남 지지 얻어낼까
국민의당 통합 반대파는 이날 신당 당명을 ‘민주평화당’으로 정하고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 상징색은 녹색계통과 오렌지색 계통의 색이 검토되고 있는 가운데 26일 최종 결정될 에정이다.

민평당은 호남중진들이 주도하는 정당인만큼 향후 지역적 색깔을 강하게 드러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처럼 분명한 지역적 기반을 갖추고 있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평당은 통합신당으로 갈 경우 정치적 영향력을 잃게될 사람들이 만든 정당이기 때문에 향후 전망이 밝지 않다”며 “특히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박지원 전 대표의 전남지사 도전 정도가 가능한 이야기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현출 교수 역시 “과거 20대 총선에서처럼 '호남'이라는 지역기반만 믿고 포지셔닝 전략으로 나아가면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민주당이 호남 지지율을 높여가고 있는 것도 주도권을 잃을 수 있는 부정적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캐스팅보트' 누구 손에
20대 국회 출범 이후 국민의당은 주요 법안 표결의 ‘캐스팅 보트’를 쥐고 당의 위상을 높여 왔다. 그러나 정계개편이 이뤄지면서 통합신당과 민평당 어느 쪽이 다음 캐스팅보터 역할을 하게 될 지도 주목된다.

향후 정국에서 의미 있는 캐스팅보트가 되기 위한 의석 수 마지노선은 31석이다. 이를 이루지 못하면 신당의 힘은 그만큼 약해지게 된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양당이 캐스팅보터 역할을 놓고 선명성 경쟁을 벌이게 될 것”이라며 “민평당은 대북현안 등과 관련해 민주당 쪽으로 많이 협조할 가능성이 높고, 통합신당은 안철수·유승민 두 대표가 같은 색깔을 내기 어려워 초반 정체성 혼란이 생길 것이다”고 강조했다.

김용철 교수는 “지금까지 국민의당이 절묘한 캐스팅보터 역할을 해왔지만, 그 역할 자체가 사라질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두 당이 서로 연대해 캐스팅보트를 복원시켜낼 것인지 각자도생을 택할 것인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golee@fnnews.com 이태희 김학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