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에어서울 “특가 항공권 당일 취소 100% 환불”…실제론 로그인도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당일 예약사이트 접속 불가

다음날 신청하니 수수료 폭탄

관련 법률 없어 소비자 피해

회사원 송기헌씨(41)는 지난 18일 한 저가항공사의 초특가 항공권 세일 소식에 솔깃해 곧바로 일본행 표를 끊었다. 국내 저가항공사인 ‘에어서울’이 진행한 ‘사이다 특가’ 이벤트였다.

오는 10월 일본행 왕복 항공권 2장을 대형항공사의 반값인 32만원에 구매하는 데 성공했지만, 항공사 세일 이름대로 ‘사이다’(사이다처럼 시원하게 싸다는 의미)를 외친 것은 잠시뿐이었다. 뒤늦게 여행 일정을 잘못 체크한 것을 알게 된 송씨는 항공권을 취소하려 했지만 예약사이트는 ‘접속 불가’였다.

당일 취소해야만 100% 환불되는 특가 항공권이라 송씨는 자정까지 발을 동동 굴렀지만 결국 취소에 실패했다.

다음날 송씨에게 돌아온 건 표 값에 육박하는 취소 수수료였다. 무조건 1인당 편도 6만원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는 정책 때문에 총 수수료 24만원이 징수돼 환불은 32만원 중 8만원만 받을 수 있었다.

고객센터는 “로그인 기록을 통해 당일 취소를 시도한 정황을 확인해야 무상 취소가 가능하다”는 답변만 내놨다. 송씨는 “접속 자체가 불가능했는데 로그인을 어떻게 하냐”면서 “사이다 특가가 아닌 ‘고구마’ 특가”라고 말했다.

현재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인터넷 등에는 송씨처럼 서버가 다운돼 당일 취소에 실패한 소비자들이 “배보다 큰 배꼽 수수료를 내게 생겼다”며 불만의 글을 쏟아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출발 91일 이전의 항공권에 대해서는 환불 수수료를 징수하지 않고 전액 환불을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법률로 정한 것이 아니라서 뚜렷한 제재 조항이 없는 데다, 특가 항공권에 대한 환불 규제 사항은 명확하지 않아서 이번처럼 분쟁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만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에어서울 측은 “특가 운임은 최대한 많은 소비자들에게 혜택을 주는 이벤트이기 때문에 수수료를 징수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서버 이상으로 예약 취소를 할 수 없었던 상황에 대해서는 “무상 환불을 진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경향신문 취재결과 19일 오후까지도 에어서울 고객센터는 “환불 여부를 결정하는 데는 수일이 소요된다”는 답변만 내놓고 있었다.

앞서 지난해 8월에는 에어부산과 이스타항공 등이 특가 항공권을 판매하면서 환불 시 과도한 수수료를 지불할 수도 있다는 점을 사전에 자세히 고지하지 않아 논란이 됐다. 이들 업체들은 공정위 권고를 피하기 위해 출발 91일 이내에 특가항공권만 판매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꼼수’를 부렸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국소비자연맹의 정지연 사무총장은 “특가라는 이유로 항공사가 소비자에게 환불 수수료 등의 제약을 거는 것은 부당한 거래”라면서 “관련 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