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가상화폐 투자한 금감원 직원…정부대책 발표 직전 팔아 차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감원장 “통보받아 조사 중”

세계일보

금융감독원 직원이 가상화폐에 투자했다가 정부 대책발표 직전에 매도해 차익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정부의 가상화폐 관련 정책 발표가 오락가락해 시장의 혼란을 키웠다는 국회의 질타도 쏟아졌다.

최흥식 금감원장은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서 바른정당 지상욱 의원의 가상화폐 내부자거래 관련 질문에 “(그런 사실을) 통보받아서 조사 중”이라고 답변했다. 지 의원이 “(그런 직원이) 있기는 있느냐”고 재차 묻자 최 원장은 “네”라고 확인했다.

금감원 등에 따르면 이 직원은 국무조정실의 가상화폐 관련 대책에 관여했던 부서에 근무했다. 그는 지난해 7월부터 지난달 11일까지 1300여만원을 가상화폐에 투자해 700여만원의 수익을 얻은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 직원은 주식 거래에 대한 제한은 있지만, 가상화폐는 금융상품이 아니어서 거래에 따로 제한이 없다.

이와 관련해 홍남기 국무조정실장도 “내부거래 관계는 제가 아는 한 공무원 1∼2명의 사례가 있어서 진상조사를 하도록 했고, 공무원에 대해선 가상통화 투자가 적절치 않다는 표현으로 해서 일단 투자를 자제했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전달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일보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가상화폐 거래소를 전면 폐쇄하는지, 불법행위를 저지른 거래소만 폐쇄하는지를 묻는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의 질문에 “협의 중에 있는 안 중에는 두 가지 다 들어 있다”고 답변했다. 이어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방침을 밝혔던 박상기 법무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부처 간 조율이 안 됐다고 얘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여야 의원들은 이날 정부를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재호 의원은 “정부는 불이 났는데 소화전을 한쪽에만 갖다 대고 수압을 높이는 꼴”이라며 “대응 방식이 너무 급했고 종합적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민병두 의원은 “기본적으로 거품, 불법, 사기, 투기 이런 부분은 철저히 규제해야 한다”면서도 “시장에 신뢰를 줘서 정상거래가 이뤄지도록 하고 결제수단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면 그 방안을 모색해 보자”고 제안했다.

자유한국당 김선동 의원은 “정부의 정책은 총체적으로 인식이 잘못됐고 갈팡질팡한다”며 “안절부절못하며 대책으로 내세운 것들도 정치적 대증요법”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성원 의원은 “예전에 제2 저축은행 사태를 기억하느냐”며 “그게 지금 현실로 다가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백소용·이우중 기자 swini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