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직수형이 '시장 주류'...정수기 시장 전략 어떻게 바뀌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견 가전업계가 급성장하는 직수형 정수기 대응에 공을 들인다. 올해 직수형 정수기가 처음으로 시장 비중 60%를 돌파, 시장 '대세'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자신문

LGE_퓨리케어 슬림 정수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코웨이는 올해 독자 기술 필터 시스템 '시루'를 직수형 정수기에 확대 적용한다. 한국 전통 옹기인 시루를 모티브로 개발한 이 필터시스템은 머리카락 수만 분의 1 크기 이온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다.

코웨이 관계자는 “코웨이만의 28년 필터 기술력과 노하우를 담은 '시루' 필터를 역삼투압뿐 아니라 직수형 정수기에도 확대 적용하며 직수형 시장에서도 1위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원웰스는 가정용 정수기 제품을 직수형으로 집중한다. 직수형 정수기 중심의 사업 대응이다. 청호나이스는 자사 첫 직수형 정수기 '이과수 토스'를 내놓은 데 이어 올해는 저수조 정수기에 직수 방식을 접목한 신개념 제품을 구상하고 있다. 후발 주자인 만큼 베트남 등 해외 시장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웅진이 직수형 정수기를 내놓을지도 관심이다. 웅진은 지난 2일 경업 금지 조항이 해제되자마자 정수기 렌털 인력 모집에 들어간 만큼 공격적인 시장 진출이 예상된다.

전자신문

SK매직 직수형 정수기 슈퍼미니 및 슈퍼플러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직수형 정수기 선두권 업체인 LG전자와 SK매직도 시장 확대를 위해 차별화 전략을 내세운다. LG전자는 올해가 '토탈케어 1.2.3' 가입 고객이 혜택을 받는 첫 해다. 직수관 무상교체 서비스 관리에 주력해 시장 점유율을 지킨다. SK매직은 주력 제품인 직수형 정수기 신제품을 공개한다.

전체 정수기 가운데 직수형 제품 비중은 2015년 21.2%(30만대)에서 2016년 32.8%(50만대)를 거쳐 지난해 50%까지 올라왔다. 올해 처음으로 60%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정수기 시장 규모 추정치가 전년 수준(200만대)인 점을 고려하면, 저수조(역삼투압 방식) 정수기 고객 상당수가 직수형 정수기로 넘어갔다는 의미다.

저수조가 없는 직수형 정수기로 보다 신선한 물을 마실 수 있다는 소비자 인식이 인기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부터 급속 냉각 및 순간 온도 기술을 적용,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졌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만 해도 직수형 정수기 신규 계정 수는 100만 건에 달한 반면, 저수조 정수기 계정 수는 20만 건에 그쳤다”면서 “2년 전 코웨이 얼음정수기 이물질 검출 사태 이후 신규 고객뿐 아니라 기존 저수조 고객도 직수형 정수기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시장 판도도 재편됐다. SK매직, LG전자, 쿠쿠전자 등 후발주자가 타개책으로 직수형 정수기를 개발하던 이전과 달리 코웨이 등 전통 강자도 앞다퉈 직수형을 내놓고 있다. 특히 회사 정체성인 역삼투압 방식을 고수하던 청호나이스조차 시장에 가세할 정도로 상황이 역전됐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