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3% 성장 내다본 韓銀, 물가 전망치는 왜 낮췄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올 성장률 전망치 2.9%→3.0% 상향 조정

"소비 꾸준한 증가세…수출도 양호한 흐름 지속"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오히려 0.1%P '하향 조정'

최저임금 더 올리지만…수요 측면 여전히 둔화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정남 김정현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대로 상향 조정했다. 정부와 국제기구에 이어 3%대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다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오히려 소폭 하향 조정하면서 그 배경이 주목된다. 경기가 좋아지고 있긴 하지만, 수요 측면의 물가 상승 압력은 낮다는 의미인 것이다. 기준금리 추가 인상 속도도 기존 관측대로 더뎌질 가능성이 있다.

◇3%대 성장률 전망 동참한 韓銀

이주열 한은 총재는 18일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이는 직전인 지난해 10월 수정경제전망 당시(2.9%)와 비교해 0.1%포인트 상향 조정된 것이다.

이 총재는 올해 초 기자들과 신년 다과회에서 “올해 성장률은 3% 언저리는 달성할 것”이라며 상향 조정을 예고했던 바 있다.

금통위는 기자간담회 직전 내놓은 통화정책방향문에서도 “국내 경제는 투자가 둔화되겠으나 소비는 가계의 소득 여건 개선 등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수출도 세계 경제의 호조에 힘입어 양호한 흐름을 지속할 것”이라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 수준의 성장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 조사국은 이같은 내용을 토대로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했다. 한은은 통상 매년 1·4·7·10월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등 각종 경제전망 수치를 내놓는다.

한은 전망치에 따르면 올해 상품수출 증가율 전망치는 직전 3.5%에서 3.6%로 상향됐다. 세계 경제 성장세가 그만큼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올해 세계교역 신장률은 3.7%에서 3.9%로 올렸고, 미국(2.5%, 0.2%포인트↑) 유로존(2.1%, 0.3%포인트↑) 일본(1.2%, 0.1%포인트↑) 중국(6.5%, 0.1%포인트↑) 등 주요국 성장률 전망치도 일제히 상향했다.

한은은 국내 민간소비 증가율 역시 2.6%에서 2.7%로 소폭 올렸다. 한은 관계자는 “민간소비는 양호한 소비심리와 정부 정책 등에 힘입어 증가세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국제기구들은 이미 3%대 전망치를 내놓았다. 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각각 3.0%의 성장률을 예상했다.

다만 민간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2%대 예측도 적지 않다. LG경제연구원과 현대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의 전망치도 각각 2.8%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로 전망했고, 한국금융연구원(2.8%)도 2% 후반대다.

이데일리

◇소비자물가·근원물가는 ‘하향’

성장률 못지 않게 주목받고 있는 게 한은의 물가 전망치 하향이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7%로 전망했다. 지난해 10월 전망치(1.8%)보다 0.1%포인트 하향한 것이다. 한은의 목표치(2.0%)보다도 낮다.

한은은 수요 측면의 기조적인 물가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 전망치도 낮췄다. 식료품·에너지 제외 수치(1.9%→1.8%)와 농산물·석유류 제외 수치(1.9%→1.7%) 모두 마찬가지다.

문재인정부 들어 최저임금이 인상되고 국제유가도 예상보다 더 오르는 등 공급 측면의 물가 상승 요인들은 많아지고 있지만,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 측면에서는 아직 물가 반등 기미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보인다.

농산물 가격이 낮아진 점도 한 요인이다. 전승철 한은 부총재보는 “지난해 말부터 낮아진 농산물 가격의 안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중 소비자물가는 남은 오름세를 보이다가 하반기에는 점차 확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저물가가 지속되면 추가 기준금리 인상 시기도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채권 파트장은 “물가가 0.1%포인트 하향되면서 1분기 인상 기대감도 약화됐다”고 말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