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9 (수)

[되살아난 서울] '시민들의 옥상' 거듭났지만…속이 답답한 세운상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세운상가 세운옥상. 과거 흉물로 인식되던 이곳은 현재 전망대 역할을 하는 행사공간으로 변신했다./나유리 인턴기자


서울시 도시재생 프로그램으로 되살아난 세운상가 옥상이 시민의 휴식처로 각광받고 있다. 한국 최초의 주상복합건물인 세운상가는 한때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사라질 뻔 했지만, 서울시의 적극적인 도시재생에 힘입어 4차 산업의 중심지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끊이지 않는 시민들의 발길을 따라 세운상가의 이곳저곳을 살펴봤다.

지난 11일 세운옥상에 올라가 보니, 카메라를 든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 있었다. "'세상의 기운이 모이다'라는 뜻을 가진 이곳은 1968년 준공 이후 전성기를 누렸죠. 1990년대 용산전자상가의 등장과 청계천 복원 사업 등으로 3번의 철거위기를 맞았습니다." 외국인 친구와 이곳을 찾은 오모(25) 씨는 연신 카메라 셔터를 누르며 세운상가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었다.

쇠락의 길을 걷던 상가는 지난 2014년 서울시 도시 재생 사업 '다시·세운 프로젝트로' 일어섰다. 시는 도심의 단전 축으로 인식되던 이곳을 입체적 연결망으로 연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세운-대림상가를 연결했다가 청계천 복원 당시 철거됐던 공중보행교는 3층 높이 58m 길이의 '다시세운보행교'로 돌아왔다. 두 상가의 양 날개엔 각 500m 길이에 3층 높이의 보행데크가 세워져, 청계천부터 이곳까지 걸어서 이동할 수 있게 됐다.

한때 첨단 기술의 중심지였던 세운상가는 TG삼보컴퓨터와 한글과컴퓨터 등이 시작된 곳이기도 하다. 현재 이곳에 마련된 '4대 전략기관 입주공간'은 스타트업 인큐베이팅과 교육, 제작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스타트업의 창작 개발 공간인 '세운 메이커스 큐브'에는 공모로 선정된 17개 청년 기업이 입주해 있다. 분야는 금속 3D프린터와 플라스틱 재활용 장비 개발 등 다양하다.

◆'도심 속 전망대'로 돌아온 옥상.

세운상가의 관전 포인트는 세운옥상이다. 특히 '도심 속 전망대'로 불리는 상가 8층 세운옥상은 시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다. 다양한 모양의 의자가 놓여 있어, 편히 앉아 경치 구경하기에도 좋다는 평가다.

세운상가 측은 "지난해 가을에는 이곳이 예술제와 영화제, 야시장 등 시민행사장소로 활용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행사공간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상가 내부 매장으로 발길을 돌리면, 옛것과 새것이 결합돼 완성된다는 느낌을 받는다. 전문가들이 옛부터 운영해온 전자제품·부품 매장과 청년들의 갤러리가 빼곡히 늘어서 있다.

이날 복도에는 전자제품을 고치려는 손님 대여섯 명이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다. 컴퓨터 부품 수리를 위해 매장을 찾았다는 이모(34) 씨는 제품을 고치는 A테크 운영자 김모(52) 씨를 보며 "'척하면 척' 바로 아셔서 신기하다"고 미소 지었다. 이에 김씨도 "이 일도 오래 하다 보니 보기만 해도 얼추 무엇이 문제인지 알 수 있다"며 화답했다.

메트로신문사

세운상가 매장 복도. 매장 앞에 박스가 쌓여있어, 사람이 지나다니기 불편하다./나유리 인턴기자


◆서너 명에 복도 '북적'

반면, 매장 안팎으로 3~4명만 모여도 복도가 가득 차는 구조가 정겨운 분위기를 반감시키고 있었다.

문제의 원인은 복도에 가득 쌓인 상자들이었다. 부품을 구매하러 왔다는 김모(30) 씨는 "사람이 조금만 차도 복도가 복잡해진다"며 "박스만 치웠으면 좋겠다"고 미간을 찌푸렸다.

직접 복도를 돌아다녀 보니, 양옆으로 박스가 쌓여있어 두 명이 나란히 다닐 수 없어 보였다. 단순한 상가 복원이 아닌 활성화 대책 역시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매장 관계자는 "공간이 비좁다 보니 어쩔 수 없다"며 "상인단체회의를 통해 노란 줄로 박스를 쌓아둘 수 있는 공간을 제한하고 있다"고 답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상가 내부 관리는 민간 영역이기 때문에 관여할 수 없다"면서도 "혹여 복도에 대한 민원이 생기면 상인단체에 제안해보겠다"고 말했다.

나유리 인턴기자 yul115@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