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은행권 이달 가상계좌 실명 시스템 도입...당국-투자자 사이에서 '신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은행권에 이달 중 가상화폐 계좌 실명확인 시스템 도입을 촉구하면서 은행권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가상 계좌를 제공 중인 시중은행들은 지난 12일만해도 실명거래 시스템 무기한 연기를 선언했지만 금융당국의 실명확인 시스템 도입 촉구와 투자자들의 빗발친 항의 탓에 기존 입장에서 한발짝 물러났다. 가상화폐를 인정하지 않겠다고 하면서도 관련 시스템을 재촉하는 정부와 불매운동까지 불사하겠다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시중은행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는 것이다.

15일 신한은행은 당초 예정된 가상계좌 입금금지 방침을 철회했다. 앞서 지난 12일 빗썸과 코빗, 이야랩스 등 3개 거래소에 제공했던 기존 가상계좌의 입금을 막고 실명확인 서비스 도입도 잠정 연기하기로 한 것보다는 완화된 방침이다. 이에 따라 현재 가상화폐 신한은행 계좌를 보유한 투자자들은 추가 입금이 가능하다.

지난주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기존 가상계좌에 입금을 받지 않겠다는 신한은행의 결정에 비난을 쏟아냈으며 유명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는 '신한은행 불매'가 1위에 오르기도 했다. 가상화폐 계좌를 두고 속앓이를 하던 다른 은행들에게도 신한은행의 사례는 남일이 아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온라인상에서 특정은행을 공격하는 것을 보면서 필요 이상으로 격앙돼있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면서 "당분간 시중은행들은 당국의 방침에 따르면서 (가상화폐 계좌 정책과 관련해)튀지 않는 행보를 보일 것 같다"고 말했다.

가상화폐 계좌 잔고 1위를 기록한 농협은행 역시 실명확인 서비스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기존 가상계좌를 유지할 예정이다. 농협은행은 현재도 본인명의를 확인할 수 있는 가상계좌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지만 이를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수준까지 강화할 방침이다.

가상계좌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KB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은 현재 당국이 요구한 실명확인 서비스 시스템을 준비중이다. 향후 가상화폐에 대한 정부 방침을 살펴 본뒤 추후 거래소와 계약을 맺겠다는 것이 이들의 공식입장이다.

은행들은 현재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가상화폐 거래소 가상계좌 특별검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검사는 당초 지난 11일에 마칠 예정이었으나 16일까지 연장됐으며 당국은 내용을 검토한 뒤 이르면 이번주 중 가이드 라인을 내놓을 전망이다.

wild@fnnews.com 박하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