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안철수‧유승민 간 '안보관 차이', 통합 걸림돌 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양측 "전술핵 등 정책 조율돼야…큰 틀에서 대동소이"

CBS노컷뉴스 유동근 기자

노컷뉴스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왼쪽)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사진=이한형 기자/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파 간 신당 창당 작업이 시작된 가운데 양측 안보관의 차이도 변수로 거론되고 있다.

오는 2월 중으로 설정한 창당 시점이 평창동계올림픽과 맞물려 있고, 올림픽을 촉매로 남북 간 대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대북 정책의 차이는 작게 볼 사안이 아니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당장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를 놓고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 간 반응이 엇갈렸다.

그러나 통합논의의 최종적 지향점이 자유한국당까지 포함한 중도-보수 통합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조율이 가능한 정책적 차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양측이 좌-우 클릭을 통해 접점을 찾을 수 있는 사안으로 통합 흐름의 대세를 막을 걸림돌은 아니라는 것이다.

유 대표는 4일 회의에서도 강경한 안보관을 드러냈다. 그는 김정은 신년사의 남측 반응에 대한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의 '샴페인 과음' 비판을 인용하며, "남북 당국 간 회담에 대한 동맹국 미국의 싸늘한 반응"을 지적했다.

그는 앞서 지난 2일 '북측의 대표단 파견 의사'에 대해서 "김정은의 신년사는 남남 갈등을 부추기고 한미 간을 이간질해 대한민국 안보를 무너뜨리려는 전략"이라고 비판했던 시각을 재확인한 셈이다.

유 대표의 대북정책은 '선(先) 제재‧압박 후(後) 대화'를 골자로 한다. 남한이 북한에 대해 분명한 힘의 우위를 이룬 뒤 대화에 나서야 실효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입장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햇볕 정책'을 계승하겠다고 했던 안철수 대표와는 다른 지점이다.

안 대표는 김정은 신년사라는 같은 사안을 놓고 유 대표와 미묘한 차이를 드러냈다. 그는 "올림픽 참가는 환영하지만 북핵 문제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고 했다. 통일부 정책혁신위원회의 개성공단 재개 촉구를 놓고도 국민의당이 '중단' 결정을 했던 박근혜 정부를 비판한 반면, 유 대표는 "개성공단 재개는 한마디로 정신 나간 짓"이라며 강한 어조로 성토했다.

하지만 안, 유 대표 측은 본질적인 차이가 아니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안 대표 측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최종적인 목표나 접근은 유사한데 표현방식이 다를 뿐"이라고 해석했다. 안 대표가 "미국과의 정책 공조를 긴밀히 하자"고 한 것을, 유 대표는 "북한의 갈라치기가 우려된다"며 어조를 세게 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유 대표 측도 비슷하게 분석했다. 한 측근 의원은 "사석에서 대화해보면 안 대표와 측근 의원들의 안보관이 우리와 거의 같다"면서 "다만 통합 반대파가 '보수 야합'이라며 정체성 문제를 걸고 넘어질 수 있어 안 대표가 수위를 조절하는 것 같다"고 했다.

안보관의 차이는 양당의 정강‧정책을 조율하고 있는 통합파 인사들 사이에서도 갈등의 소재가 됐다. 이날 양당 간 국민통합포럼 토론회에서도 햇볕정책의 통합신당 강령 채택 문제를 놓고 설전이 오갔다.

바른정당 정책 싱크탱크인 바른정책연구소 최홍재 부소장은 "햇볕정책이나 상호주의 등의 대북정책 개념을 (신당 강령에) 굳이 적시할 필요가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면서 "DJ는 햇볕정책을 통해 '북한을 돕겠다', '흡수할 생각이 없다'고 하면 핵무장을 포기하지 않을까 선한 의도로 추진했다고 생각하지만 김정은, 김정일에 의해 배신당했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국민의당 통합파인 이동섭 의원은 "DJ를 호남정신이라고까지 이야기한다"며 "햇볕정책을 건드리면 수도권도 전멸한다. 우리 당이 합당한다고 하더라도 전멸한다"고 즉각 반박했다.

설전이 오가자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이 나서 "현재 강령에 햇볕정책은 없다. 포용적 기조만 들어가 있을 뿐"이라며 중재를 시도했다.

햇볕정책과 같은 과거의 사안보다 향후 당론을 정해야 할 미래의 정책에서 오히려 양측의 차이가 두드러질 수 있다는 우려 섞인 관측도 있다. 바른정당이 북핵 문제 해법에서 미군과의 전술핵 공유 등 '안보-보수' 정책을 채택하고 있는 반면, 국민의당은 아직 명확한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바른정당 핵심 관계자는 "합당 후 바로 후회할 것이 뻔히 보이는 통합은 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안 대표의 확실한 우(右)클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안 대표 측 관계자는 "조율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