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1000년 전 태안 바다에 잠긴 보물들 정리한 보고서 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재청 '태안 마도해역 시굴조사 보고서'

'수중문화재 탐사기법 개발 연구 종합보고서' 발간

이데일리

[이데일리 채상우 기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태안 마도해역 시굴조사 보고서’와 ‘수중문화재 탐사기법 개발 연구 종합보고서’를 발간했다.

‘태안 마도해역 시굴조사 보고서’는 2011~2012년, 2014년 충청남도 태안군 마도해역에서 이루어진 수중 탐사와 시굴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다. 마도해역은 고려 시대 선박 3척과 조선 시대 조운선 1척이 발견되어 ‘바닷속의 경주’, ‘고선박의 무덤’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4척의 고선박 발견은 체계적인 계획에 따라 진행된 광역탐사와 시굴조사가 바탕이 되어 이루어진 결과로, 보고서에는 당시의 발굴과정과 성과가 자세히 담겨 있다.

마도해역에서는 3년 동안 도자기, 금속, 석재 등 유물 710여 점이 나왔다. 유물들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교역 항로의 중간 기착지로서의 마도해역을 조명해 준다. 보고서에 수록한 유물인 청자베개는 상감기법이 장식된 비색청자로 최고급품이다. 청자베개는 가마터에서 조각으로 드물게 확인되지만 완성된 모습 그대로 남아있는 유물은 많지 않아 고려청자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손꼽힌다. 또한, 백자의 해상유통과정을 보여주는 첫 사례로 알려진 백자의 집중 매장처에 관한 조사내용을 담아 조선 시대에 선박을 이용한 자기운송이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있다.

‘수중문화재 탐사기법 개발 연구 종합보고서’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2013~2016년까지 4년간 수행한 ‘수중문화재 탐사기법 개발 연구’ 사업의 내용을 종합한 보고서이다. 보고서에는 수중탐사장비의 운용 기술과 자료의 취득, 해석 방법, 탐사장비 개발과정 등을 정리하고 그 결과를 수록하였다.

보고서는 각종 탐사기법과 수중 탐사장비를 투입하여 재질별로 도자기, 철제솥, 청동화포, 고선박과 같은 실험시료들이 우리나라의 해역별·매장환경별로 어떠한 신호로 탐지되는지에 대한 실험 진행 과정과 결과를 소개한다. 또한, 연구사업의 세부과제로 국내 수중문화재 매장환경에 적합한 금속문화재 수중탐사장비로 개발해 2017년 특허를 취득한 ‘EM-MADO1’(수중 금속 매몰체 탐사를 위한 수저면 밀착형 예인장치) 등 탐사 장비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발간한 2종의 보고서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seamuse.go.kr)에 올려 국민과 공유하고, 전국의 박물관, 대학도서관, 문화재 조사기관 등 관련 기관에도 배포하여 널리 활용할 계획이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